문명과 바다 - 바다에서 만들어진 근대
주경철 지음 / 산처럼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25~9/21

 

바닷길이 열리면서, 세계는 격동을 맞았다. 현존했던 여러 문명은 육로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교류를 해가면서 융합된 문화를 탄생시켰지만, 대양을 건너 서로 극단적으로 이질적인 문명끼리의 충돌은 엄청난 결과를 가져왔다. 그것이 후세에 비극이 될지, 찬란한 초석이 될지도 모른 채 말이다.

 세계사의 석학 중 하나의 주경철 교수의 저서로써, 내용의 수준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교양수준에 맞추면서, 영양가를 빠뜨리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던 책이다.

 

 기존의 세계사 주류가 대륙중심의 서술형식이었다면, ‘문명과 바다’에서는 대양을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를 설명해준다. 시간의 흐름보다 세계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던 키워드 위주로 설명을 해서, 일반 독자들이 편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요한 챕터를 뽑아서 봐도 큰 무리가 없다.

 

 내 나이 또래들이라면 상당수 알고 있는 ‘대항해 시대’라는 게임이 있다. 일본에서 만들어 졌지만, 게임은 유럽 포르투갈, 스페인을 필두로 유럽을 중심세력으로 삼고 내용이 시작되는 것처럼, 지금까지의 세계사 연구는 서양사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고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실제는 그렇게 게임처럼 낭만적인 이야기는 아니었다.

서양문명을 우수한 문명으로 인식하여, 그들의 위주의 관점으로 서술 되다 보다 아시아는 물론 신대륙의 독창적인 문명까지 저급한 문명으로 마치 서양이 구세주로써 종교와 문화를 미개한 문명권에 전달한 것처럼 쓰여져 있다는 것에 시각을 바로잡아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시각을 기초로 최대한 양자간 문명에 대해 동등하게 유지하여 설명을 하려고 애썼다.

 

그러면서, 우리 대중이 알지 못했던 사실을 알려주면서 해양문명의 발달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끔 해줬다. 최초의 해양교류의 중심은 중국이 앞서 갔다는 것. 우리가 세계사 시간에 배운 짤막한 분량의 정화의 대양 원정은 아프리카까지 명나라의 함대가 도착했으리라고 생각했지, 그것이 얼마나 세계사의 중요한 포인트인지는 그 대는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함대가 무역을 위해 식민지를 건설할 의도로 함대가 대양으로 나간 것이 그로부터 상당히 뒤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만약 명나라 함대가 식민지를 목적으로 계속하여 함대를 대양에 보냈다면, 지금 역사는 상당히 현재와 다른 양상으로써 동아시아 중심의 역사가 되었을 것이라고도 추론해본다. 어디까지나 추론이다.

 

 서양 함대가 대양을 건너 세계로 나갔을 계기는 이슬람 세력의 육로 봉쇄로 인한 새로운 루트의 무역을 위함이었지만, 그것은 점차 욕심으로 발전하여 무역을 넘어서 식민지 건설로 이어지고 월등한 기술을 이용하여 현지를 잔인하게 무력으로 써 짓밟고 기독교를 전파하는 과정까지 강제로 진행하는 등의 폭력적으로 변질되어 갔다.

 

 기독교의 아들을 자처하는 서양인들은 인종적으로 신대륙의 거주민을 열등한 민족으로 치부하고, 아프리카에서는 노예까지 만들어 신대륙에 자신들의 식민지의 노동력으로 삼는 등 자신들의 섬기는 신에 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신대륙의 풍부한 자원은 오히려 그들의 숨통을 죄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신대륙은 여러 작은 문명권들이 국가의 강력한 중심체제로써 이루어지지 않아 침탈이 심했지만,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는 중앙집권의 역할을 하는 국가가 존재하였기에 그 정도가 덜했으나, 인도와 동남아는 그 문화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물리력에 의해 기운을 잃고 식민지로 전락하기에 이르렀다. 

 

 세계는 대양을 지배한 서양인들에 의한 침탈에 그들이 우월한 문화를 전파하는 억압구조로 재편되었다. 이는 해양횡단이 없었던 시절에 꽃피웠던 개개의 작은 문화들이 용광로에 녹아 없어지고, 서양중심의 문화와, 몇 개의 나름대로 무게를 지니고 있던 동양 문화만 남겨졌다. 자칫 서양문화의 우수성이 미개한 다른 문화를 눌러 없앴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다. 이는 민족우월주의와 연관되는 위험한 사상으로 변질되기도 하고, 책에서도 우려하는 내용을 볼 수 있다.

 

 정신적인 부분뿐만이 아닌, 대륙과 대륙간의 갑작스러운 교류는 생태환경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 새로운 바이러스와 병균이 신대륙과 유럽을 오가는 과정에서 많은 다양한 생물이 멸종되었고, 인위적으로도 인류의 욕심 때문에 멸종된 종들도 있다. 상당히 다양한 생물 종들은 지구의 긴긴 역사의 작은 손톱만큼도 안 되는 시간 동안 자취를 감추게 되는 서글픈 현실이 발생하기에 이르렀고, 그것을 막기 위한 인류의 역사와 생태학적 인식은 미약하였다.

 

 역사에서 배운다고 했다. 이러한 문명간의 충돌은 현재도 지금 계속되고 있다. 바다를 넘어 하늘을 이미 정복한 문화는 새로운 판도를 보여준다. 하나의 문명으로 흡수되어 사라지느냐, 독창적인 문화를 유지하면서, 후세에게 새로운 문화를 창조할 수 있게끔 하느냐는 현재 역사인식을 어떻게 가지고 살아가는지 우리 자신에게 달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