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없는사랑은없다 #정호승 #시인 #시가있는산문집 #비채 #비채서포터즈2기

인용한 시는 <굴비에게>

시에 이어지는 산문 중 일부를 가져와봤다.

시인의 산문은 운율이 있다.

진부하지만 울림을 주는 글.

요즘 사람들은 쓰지 못하는 글을 본다.

어딘가를 응시하는 호랑이같은 시인의 글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폴레온힐 #당신은반드시성공할것이다 #성공철학 #자기훈련 #토네이도북 #양장본 #도서협찬 #인상깊은구절

당신은 성공을 원하는가?
당신이 말하는 성공은 무엇인가?
어떤 목표를 세우고 있는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얻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 책에서 당신은 많은 질문을 받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군지도 알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에게 상담을 청해 온 인물에게 자신이 한 어떤 행동에 대한 일화를 소개한다.
저자는 단지 00에 비친 00을 보여주었을 뿐이다.
상담을 청해 온 인물이 다음번에 저자를 찾아왔을 때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 있었다. 물론 좋은 쪽으로.

뻔한 말만 하는 책이라고?
자. 가슴에 손을 언고 생각해보라.
당신의 지금 모습이 당신이 지난날에 그려왔던 바로 그 모습이 맞는가?

당신은 알고 있을 것이다.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이 책을 집어들 것이라 장담한다.
당신은 소중한 존재니까.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읽어주는기자들 #넥서스 #KBS #기자 #김기화 #강병수 #옥유정 #정연욱 #산문

기자가 쓴 책들이 자주 보인다.
‘기자는 기사로 말한다‘고 하지만, 기사로는 쓸 수 없는 그들의 속내가 있을 것이다.
그들이 삼켰던 말들이 결국 넘쳐서 책으로 나오나보다.

책을 읽고서야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이라 유튜브 채널을 알게 되었다. 5년 가까이 이어왔다고 하는데 얼마 전 고별인사를 끝으로 종영된 듯.
뒤늦게서야 구독 버튼을 눌렀다. 시간 날 때마다 들어 볼 생각이다.

책을 읽으면서 받은 인상은 아젠다 키핑의 어려움이었다. 아. 이런 일이 있었지. 되짚어가며 읽는 부분이 많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사건과 사고, 정치 공방, 재판으로 인해 하나의 이슈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지 못했음을 반성한다.

시사에 관심이 있는 편인데도 특정한 이슈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의견조차 낼 수 없는 때가 있다. 어떻게 따라가야하지?

특정 언론만 구독하면 어느새 내 생각이 그 언론사의 기조와 닮아간다. 그러고 싶지 않아 의도적으로 다른 기사를 찾아본다.

인용한 글은 기자의 선택을 강조하지만, 이 책에서는 언론 소비자의 역할도 강조한다.

기자들조차 자신의 진의를 드러내기 위해 책을 내는 세상이다.
정보가 넘치지만 이젠 가려서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적어도 특정 언론의 관점을 자기 생각이라 믿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오늘도 기사를 읽고 검색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듄의 세계 - 『듄』에 영감을 준 모든 것들
톰 허들스턴 지음, 강경아 옮김 / 황금가지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듄의세계 #SF #프랭크허버트 #황금가지 #영화원작 #서평단

프랭크 허버트는『듄』을 집필하기 위해 역사, 소설, 종교, 과학 자료, 전문가용 혹은 대중용 자료, 유명 혹은 무명 자료 가리지 않고 수없이 다양한 자료를 참고했다.

그렇게 탄생한 그의 작품이 문화에 미친 영향력은 오히려 창작 시 받은 문화적 영감의 영향력을 훌쩍 뛰어넘었다.

『듄』은 역사상 가장 많이 읽힌 SF 소설이며, 의심할 여지 없이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이다.

SF 연구자 존 J. 피어스는 ˝SF에서『듄』이 지니는 위상은 판타지에서『반지의 제왕』이 지니는 위상과 동일하다. 두 작품은 모두 궁극의 세계관을 창작해냈다.˝라고 주장한다.

시리즈의 두번째 영화 개봉을 앞두고 있는 지금. 원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사실 프랭크 허버트의 사후 그의 아들이 참여해 내어놓은 후속작들이 기대에 못미치기 때문에 그가 만들어 낸 원작소설들에 대한 향수가 더 커진 듯 하다.

세상에. SF에서 듄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해보면 여지껏 읽지 않았다는 것이 부끄러워진다. 그 분량많은 반지의 제왕도 완독했었는데.

40대가 다 가기 전 목표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과 프랭크 허버트의 <듄> 시리즈를 완독하는 것으로 정했다. 자그마치 6년에 걸쳐서 잡은 장기목표이다.

시리즈를 읽기 전에 미리 세계관을 알 수 있는 가이드를 접했다. <듄의 세계>. 시리즈의 위상 만큼이나 공들여서 만든 책. 방대한 사진 자료, 작가의 의도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의 구체적인 문헌이나 영향을 받은 사상, 시대적 배경까지.

소설 속 문장을 인용한 부분을 따로 떼어놓고보니 예언자같기도 하다.
어릴적 봤던 2020년 원더키드를 보는 듯한 기분이. 지나고나서 안도의 한숨을 내쉴수 있기를.

☆ 인상깊은 구절

˝옛날에 사람들은 생각하는 기능을 기계에게 넘겼다. 그러면 자기들이 자유로워질 거라는 희망을 품고 말이야.
하지만 그건 기계를 가진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노예로 삼는 결과를 낳았을 뿐이다.˝ - 가이우스 헬렌 모히암 대모

_ 생각까지 다른 이에게 맡기진 말자.

※ 이 글은 @goldenbough_books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이르는병 #사센도유키 #시옷북스 #일본소설 #진실 #위장 #가스라이팅 #백야행 #소실점 #솔로몬의위증 #밀리의서재

시옷북스.
최근 눈여겨보는 출판사.
<잘못된 장소 잘못된 시간>을 펴낸 그곳이다.

사랑 대신 사형을 넣어도 이상하지 않을 내용.
사형에 이르는 병.
사랑과 사형이라.
이게 매칭이 된다고??

히가시노 게이고의 대표작 <백야행>의 주인공들(유키호, 료지)의 관계가 이해되지 않았는데,
이 책을 보고 어쩌면... 이럴수도 있었겠구나 싶다.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제3자의 존재와 주인공이 애써 무시하려 했던 진실 한조각을 들이밀게 되는 장면에서
소실점, 솔로몬의 위증이 떠올랐다.

오랜 시간이 지나 우연히 찾게 된 퍼즐조각.
이래서 읽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