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문이 막힐 때 나를 구하는 한마디 - 꼬였던 일도 관계도 술술 풀리는 새로운 대화의 기술
마티아스 뇔케 지음, 장혜경 옮김 / 갈매나무 / 2024년 10월
평점 :
말문이 막힐 때 나를 구하는 한마디
꼬였던 일도 관계도 술술 풀리는 새로운 대화의 기술
책 제목과 부제가 절대 과장이 아니었다. 정말 일상 대화에서의 꿀팁들이 총망라되어 있었다. 난감한 상황에서 빠져나오는 방법부터 신체언어 활용법, 해야 할 말, 하면 안 되는 말, 부당한 비난 대처법, 조롱과 비아냥거림에 맞서는 법 등 책상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야 될 내용들이었다.
무엇보다 이 책의 구성이 매우 인상적이었는데 사실 시중에 대화법에 대한 책이라면 넘쳐날 정도지만 이 책은 그 중에서도 생생한 대화로 구성된 다양한 상황(scene)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단연 돋인다. 또한 각 챕터마다 현실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마지막에는 팁으로 정리하는 방식이 아주 명쾌했다.
전체적인 흐름은 순발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훈련법들을 9단계에 걸쳐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방식인데 예를 들면 새로 산 옷을 친구에게 자랑할 때, 친구의 말투에 비아냥거림이 섞여 있다면 어떨까? 상대의 무례한 언사를 그냥 지나친다면, 앞으로도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런 상황에서는 상대의 말에 숨은 비열함을 끄집어내어 상대의 코앞에 들이밀어야 한다. 물론 상대가 당장 사과할 수도 있지만, “왜 내 말을 그렇게 해석해?”라며 과민하게 반응하냐는 식으로 몰아붙일 수도 있다. 그럴 때는 “내가 과민한 게 아니라 네 말투가 그랬어”라고 반박하면 된다.
그 외에도 부드러운 말로 번역하라는 조언은 이 책을 읽고 당장 써먹고 있는데 번역가가 되어 상대의 악의 있는 공격을 부드럽고 상냥한 말로 바꾸는 것이다. 번역가의 역할을 자처해 상대가 방금 한 말을 나의 말로 다시 설명하면 자신감을 키울 수 있고, 대화의 방향을 주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아냥거리는 상대의 입을 틀어막을 또 하나의 비법이 있다. ‘나’라는 마법의 주문이다.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고, 나쁘다고 상대를 비난하지 마라. 그렇다고 타인의 동정심에 호소하며 비 맞은 강아지처럼 낑낑거리지도 마라. 더 비아냥거리고 싶은 마음만 부추긴다. 용기를 내서 당당하게 말하라. “‘내 생각’은, ‘내 입장’은 이러저러하다고!” 상대가 더 이상 할 말이 없어지도록 단호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