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인정욕구, 자존감, 공감, 도덕성, 이타성 등에 대한 순도 100% 뇌과학 책이다. 요즘 뇌과학 서적이라면 서점에 넘쳐날 정도인데 이 책은 현직 심리학 교수님의 체계적인 수업 교재라고 해도 되겠다. 특히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자기감에 포인트를 맞추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타인의 시선과 내 몸의 신호 사이에서 분투하는 뇌를 이해하여 삶의 균형을 찾는 법이라는 문구가 요즘 내가 고민해왔던 대목과 겹쳐 어떻게 하면 내 마음을 정돈할지 몰입해서 읽게되었다. 


책의 구성은 자기감의 생물학적 기원부터 뇌의 생존 전략, 자존감, 뇌가 자존감을 방해하는 방식, 뇌는 어떻게, 왜 감정을 만들어내는가, 자존감 불균형을 해소하는 과학적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 뇌의 생존 전략인 알로스테시스 기능은 처음 접한 개념이었는데 우리가 자존감 불균형에 이끌리는 기제를 살펴보며, 우울증이나 분노 조절 장애 같은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의 다양한 양상들을 읽어볼 수 있었다. 


우리 몸엔 신체 항상성에 불균형이 발생하면 자동적,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기본 반사 회로가 있다. 반면 알로스테시스란 그보다 더 적극적으로, 신체 항상성 불균형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측하고 외부 환경을 활용하여 예방하려는 능동적 조절 회로다. 따라서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해주는 ‘보상’에 무엇보다도 적극적으로 반응한다. 배고픔이나 통증을 해소해주는 일차적 보상을 넘어, 돈이나 사회적 인정 같은 이차적 보상을 학습하는 것도 알로스테시스의 주요 역할이다.


그 외에도 불균형을 제때 감지하는 방안으로 ‘자기 감정 인식’을 권하며, 건강한 자기감을 유지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이면 좋을지 뇌과학 관점에서 제안한다. 인정 욕구는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에서 행동을 지배하는 강력한 동기지만, 그렇다고 해서 욕구의 최상위 단계가 될 수는 없다.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위 단계의 욕구는 나 자신을 온전한 형태로 세상에 드러내는 것일 텐데 이는 자기감과 더 관련될 것이다. 즉, 내가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목표는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온전하게 확립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