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가 묻고 생명과학이 답하다 - 호모사피엔스에서 트랜스휴먼까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찾는 열 가지 키워드 ㅣ 묻고 답하다 5
전주홍 지음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3년 7월
평점 :
역사가 묻고 생명과학이 답하다
역사가 묻는데 생명과학이 답한다는 책 제목이 살짝 의아하기도 했지만 목차만 봐도 이게 얼마나 흥미로운 시도인지 알게된다. 열가지 질문이 열개의 챕터에 배정된 형식으로 그 질문들은 왠지 오래전부터 나 역시도 궁금해왔던 것 같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아기를 디자인할 수도 있을까?, 생명공학으로 생명체를 창조할 수도 있을까?, 영혼은 어디에, 과연 있을까?, 몸을 기계로 갈아 끼우면 어디까지 나일까?, 고통 없는 삶이 가능할까?, 입과 몸이 좋아하는 맛은 왜 다를까? 등의 출산, 유전, 마음, 질병, 장기, 감염에 대한 역사와 생명과학적 분석과 해설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어떤 대목에서는 기술의 발전이 뭔가 신의 섭리를 거스르고 있는 것 같아 무서워지기도 했는데 유전자가위라는 기술을 활용하면 살아 있는 세포의 염색체에서 유전자를 정교하게 조작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기술은 2015년 발표 당시 ‘맞춤아기’에 대한 우려로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실제로 2018년 중국에서 CCR5 유전자 변형 아기가 태어나며 현실이 되었고, 수많은 과학 관계자들의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으론 노화에 대한 기술발달로 나 역시도 영원히 살고 싶은 욕심도 생겼는데 생물학적 젊음을 되찾기 위해 자기 아들을 포함한 젊은이의 혈장을 수혈받은 미국 백만장자도 있다고 한다.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에서는 의료 기술이 더 발전한 미래에 병을 고치고 회복시키기 위해 사망 즉시 환자를 냉동보존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장기와 조직을 인공물로 대체해 신체 기능을 확장시킨 트랜스휴먼(transhuman)이란 개념과 더 나아가 인간의 뇌마저 인공지능으로 대체하여 정신 기능을 극대화하려는 포스트휴먼(posthuman)도 생명과학의 핫한 분야이다.
그 외에도 머리 이식에 섬뜩한 대목도 있었는데 이는 기술적 문제에 대한 논쟁뿐만 아니라 철학적, 윤리적, 법적 논쟁을 피할 수 없다. A의 머리를 B의 신체에 이식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 사람은 A라고 봐야 할까요? 아니면 B라고 봐야 할까요? A나 B에게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면 법적으로 누구의 배우자와 자녀가 되는 걸까요? 건강보험은 A의 기록에 근거해 적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B의 기록에 근거해 적용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