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머니 - 화폐의 최후
브렛 스콧 지음, 장진영 옮김, 이진우 감수 / 쌤앤파커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라우드 머니 


화폐의 최후라는 부제부터가 뭔가 도발적이고 공포스런 호기심을 자극하며 이 책을 집어들게 했다. 화폐가 멸망이라도 한단 말인가? 라는 의구심 부터 들었던 이 책은 막상 읽어보니 현금이 암호화폐, 디지털머니, 코인 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과 그 어두운 이면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평소 개인적으로도 카드 지갑과 스마트폰만 가지고 다니며 OOO페이 등을 애용하는 입장에서 현금없는 사회에 대해 오히려 편리하다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디지털머니 확산을 위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과 일상에서 실재 현금을 없애기 위해 코로나19가 무기화되는 과정을 넘어 화폐의 미래상까지, 그에 대한 문제점들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금융 마피아들이 존재한다. 


또한 어떤 대목에서는 이런 화폐와 금융에 대한 철학적 사유까지 불러일으킨다. 인간과 돈의 관계는 기술에 대한 인간의 애착보다 훨씬 더 깊고 심오하다. 사람들은 은행 잔고가 거의 바닥나서 곧 시장접근성을 잃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공황 상태에 빠진다. 내게도 시장접근성을 잃는 것은 장거리 운항 비행기에 탄 골초가 되는 것보다 훨씬 더 끔찍하다. 


고로 돈은 궁극적인 의존대상이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우리의 돈을 직접 보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건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은행계좌에 찍힌 디지털화폐는 은행이 통제하는 원거리 데이터센터에 존재한다. 우리는 스마트폰·컴퓨터·결제카드 등을 통해 은행의 데이터센터와 소통한다. ‘현금 없는 사회’는 우리의 금융거래 능력을 금융기관이 위탁받아 관리하는 세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실제 파생상품 브로커 출신의 영국 최고의 금융 저널리스트로 금융계의 하부구조와 미래 금융의 메커니즘, 가상자산의 배후를 조종하는 세력들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이유를 알려준다.  


그 외에도 돈은 피가 아닌 자극이다, 기업자본주의의 작동방식, 화폐는 빚이다, 은행은 돈 보관소가 아닌 카지노에 가깝다, 금융 카르텔, 결제 앱의 진실, 힙스터의 결제 앱과 소상인의 현금, 낡은 허물을 벗고 새로운 껍질을 뒤집어쓴 은행업계, 금융로봇은 화장실에 가지 않는다 등의 흥미로운 읽을거리들이 가득했다. 


이 거대한 디지털금융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이제는 규모가 너무 커서 완전히 이해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컴퓨터·각종 센서는 우리로부터 습득한 다양한 개인정보를 멀리 떨어진 데이터센터로 보낸다. 여기서 불편한 감각이 스멀스멀 목덜미를 타고 올라온다. 우리는 상호연결의 중앙집권화가 심화될 수밖에 없는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도 불편한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