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 세계사 - 세 대륙이 만나는 바다, 그 교류와 각축의 인류사
제러미 블랙 외 지음, 데이비드 아불라피아 엮음, 이재황 옮김 / 책과함께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중해 세계사 


시중에 수많은 역사책을 만나볼 수 있지만 지중해를 중심에 두고 이야기를 펼쳐내는 색다른 기획에 구미가 당겼던 책이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이미 지중해의 역사를 세계사 시간에 실컷 배운 것 같기도 하다. 이집트, 그리스, 로마, 유럽이 모두 지중해에 접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이 책을 읽어보니 지중해의 역사적 의미와 인류의 역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책은 특히 데이비드 아불라피아와 석학 8인의 범세계적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란 점에서 더욱더 귀한 읽을거리였고 유럽 중심의 시각에서 탈피해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대륙의 이야기까지도 다루고 있다. 


책의 구성은 지중해란 무엇인가라는 서론부터 물리적 환경, 선사시대부터 서기전 1000년 무렵까지, 서기전 1000년에서 서기전 300년까지, 서기전 300년에서 서기 500년까지. 서기 500년에서 1000년까지. 서기 1000년에서 1500년까지, 1500년부터 1700년까지, 1700년부터 1900년까지, 1900년부터 2000년까지 8개의 시기를 8개의 챕터에 배정해서 설명한다. 


그 외에도 지중해의 역사를 만들어온 ‘개인’의 역할에 주목했고 아름다운 50장의 컬러 화보는 덤이다. 카르타고와 에트루리아의 상인, 에스파냐 마요르카의 선원, 1492년 에스파냐에서 추방된 유대인, 19세기 그랜드투어 시대 이후 지중해에 열광했던 북유럽인,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향했던 현대의 이주민들을 조명하는 대목들에서는 한편의 영화가 상상되기도 했다. 


지중해 지역에서 중요한 것은 바다로 인해 생기는 도전의 규모이며, 너른 대양에 비해 한계 내에서의 이동이 비교적 손쉽다는 점이다. 이동의 편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지중해의 역사는 공존의 역사다. 상업·문화·종교·정치적으로 말이다. 또한 그들의 때로 강력한 민족적·경제적(그리고 종교적) 차이를 자각하고 있는 이웃들 사이의 대결의 역사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는 학창시절 짧게 언급되고 넘어갔던 페니키아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페니키아인들은 그리스인들에게는 물론이고 에트루리아인, 이탈리아 민족들, 리비아인, 이베리아인들에게도 강력한 교역 활동의 모델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모형, 사회 제도, 생활방식 전체의 확산에 기여했다. 그들이 수송한 사치품은 이데올로기가 전파되는 통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동방 모델을 바탕으로 한 교류의 구조 자체는 페니키아인들이 지중해 원주민들을 만나는 지역에서 충실하게 재현됐고, 동방 문화가 확산되는 강력한 원천이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