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물론 - 인터뷰와 지도제작
릭 돌피언.이리스 반 데어 튠 지음, 박준영 옮김 / 교유서가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유물론 


신유물론이라는 최신 철학 이론에 대한 책으로 신유물론은 21세기 떠오르는 사유이며 철학, 문화이론, 페미니즘, 과학 연구 등 현대사상 안에 물질(matter)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솔직히 나한테는 어려운 철학서였지만 색다른 도전이었던 책으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신유물론은 어째서 정신이 언제나 이미 물질인가를(정신은 신체의 관념이다) 보여주며, 어떻게 해서 질료가 필연적으로 정신에 속한 것인지(정신은 대상으로 신체를 가진다), 그리고 어째서 자연과 문화가 언제나 이미 ‘자연문화’(naturecultures, 도나 해러웨이의 용어)인지를 보여준다. 


신유물론은 문화론을 따라다니는 초월론적이고 인간주의적(이원론) 전통에 반대한다. 이 두 가지는 근대성과 후기근대성 시대 모두에 기반을 두면서 문화이론에 붙어 있는데 초월론적이고 인간주의적인 전통들은 여전히 지속적으로 이원론적 구조에 입각하여 다양하게 기술되며, 신유물론자들에 의해 제기된 논쟁들을 계속 일으키고 다닌다. 


이 책은 여러 철학자들이 함께 참여한 결과물이었고 편저자와 인터뷰에 응한 철학자들은 20세기 말과 21세기 철학의 첨단에 있는 인물들로 평가된다. 책의 구성은 2부로 이어지며 신유물론의 최초 세대인 로지 브라이도티, 마누엘 데란다, 카렌 바라드, 사변적 유물론자인 퀑탱 메이야수와의 인터뷰를 담고 있는 전반부와 편저자인 릭 돌피언, 이리스 반 데어 튠의 논문이 실려 있는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의 ‘인터뷰들’에서 편저자가 만난 철학자 네 명의 사상적 결은 다소 상이하다. 브라이도티는 들뢰즈의 ‘생성의 철학’을 페미니즘적으로 재전유하면서 생태-정치적이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틀어놓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바라드와 메이야수, 데란다의 경우 존재론의 방향이 주관심사이다. 물론 바라드는 어떤 철학적 지향이 인식론이나 존재론이라는 분과적 잣대로 분할불가능하다면서, ‘존재-인식론’을 전개하는데, 이는 바라드의 ‘간-행’ 개념에서도 드러난다. 편저자는 바라드의 이 개념을 책의 기조로 삼은 듯하다. 


신유물론은 이원론을 질적으로 전환하는 횡단적 문화이론이다. 신유물론적 맥락에서 횡단성은 비범주적이고 비결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횡단성은 모든 이분법적 구별들을 가로지름으로써 생겨날 수 있는 또다른 이분법적 응결조차 피해가고자 한다. 그렇다면 횡단성은 언제나 횡단선 자체를 가로질러가야 한다. 그것은 언제나 자기 자신보다 더 빨리, 먼저, 도래해야 한다. 횡단성은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것을 죽이거나 소멸시킨다기보다, 그것의 역능을 자기화하면서 새로운 것을 생성시킨다. 그러므로 신유물론과 관련하여 이 개념은 그 실천적 역량을 확장하기 위한 조건을 교육하고 정치적으로 고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