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길남, 연결의 탄생 - 한국 인터넷의 개척자 전길남 이야기
구본권 지음 / 김영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길남, 연결의 탄생 


개인적인 기억으로는 인터넷이란 용어는 90년대 중후반부터 알기 시작한 것 같은데 한국의 인터넷은 올해가 40주년 되는 해라고 한다. 그러니까 1982년에 시작된 역사란 의미다. 그 역사의 개척자인 전길남이란 인물의 평전이 바로 이 책이다. 



무엇보다 세계적인 인터넷 강국에 사는 사람으로서 여태까지 이런 인물을 모르고 있었다는 점이 의아했고 그래서 더 몰입해서 읽게 된 책이다. 그리고 전길남이라는 인물이 단순히 자신의 부와 성공을 위해 시작한 일이 아닌 대한민국의 더 좋은 시스템, ‘모두를 위한’ 네트워크를 위한 헌신이었다는 점에 감명 깊었다. 


그래서 단순히 인터넷 역사에 대한 흥미로운 읽을거리로 생각했던 처음의 의도와는 다르게 세종대왕, 이순신 위인전 같는 벅찬 가슴으로 읽었던 책이다. 


40년 전, 서울대의 PDP11/44 중형 컴퓨터와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의 PDP11/70 중형 컴퓨터가 인터넷 통신규약(TCP/IP)을 따른 통신에 성공했다.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자체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SDN)에 성공했다. 훗날 한국 인터넷을 10년 앞당긴 것으로 평가받는 쾌거이자 정보화 강국 대한민국의 등장을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그리고 중심에 전길남 박사가 있었다.


전길남은 1943년 오사카에서 재일교포 2세로 태어났다. 오사카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UCLA에서 시스템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바이킹 계획과 보이저 계획에 참여했다. 1979년 한국 정부의 우수 해외 과학자 국내 유치 프로그램으로 귀국해 한국 전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며 국산 컴퓨터를 개발하는 한편, 인터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에 성공한다. 


이 책에서는 그 외에도 전길남의 성품과 삶의 방식, 업적, 그리고 그의 크고 깊은 문제의식을 담고 있고 한편의 드라마와 같은 박진감 넘치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 중에서도 전길남은 당시 규모 있는 종합대학 전살실에도 하나 있을까 말까 한 수억 원짜리 중형 컴퓨터를 연구실에 구비하여 마음껏 사용하게 한 일화가 인상적이었고 고교 시절 한국행을 결심한 일부터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과 교육에 뛰어든 일,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많은 개발도상국에 인터넷을 보급하고 조언자로 활동한 일, 미국과 유럽이 주도하는 인터넷 관련 국제회의에서 줄기차게 개발도상국과 소수의 목소리를 대변한 일 등을 읽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가 평생 열정을 쏟은 일에는 공통된 배경이 있다. 바로 ‘공정한 기회’다. 개인과 국가의 생존과 번영에 꼭 필요한 영역은 ‘도착한 순서대로’ 선발 주자 몇이 나눠 먹어서는 안 된다고 굳게 믿었다. 미국이 인터넷 기술을 개발하고 선진국 위주로 먼저 보급했다고 해서 그 후의 인터넷 관련 국제 규약과 권리 주장이 선발국 위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국제적인 논의 무대에서 고집스레 주장해왔다. 동등한 지분은 아니더라도 후발 참여국들의 목소리가 일정 수준 반영되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