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가라앉지 마 - 삶의 기억과 사라짐, 버팀에 대하여
나이젤 베인스 지음, 황유원 옮김 / 싱긋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가라앉지 마 


얼마전 <우리들의 블루스>의 뜨거운 여운이 가시기도 전에 만나게 된 엄마를 떠나보내는 일에 대한 책이다. 그래픽노블이라는 색다른 형식에 그래픽노블 중에서도 색다른 주제를 그려낸 작품이라 아주 특별한 책이었다. 


<삶의 기억과 사라짐, 버팀에 대하여>라는 부제로 여든 살이 넘은 엄마가 치매 진단을 받은 후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2년 동안의 돌봄과 버팀, 회복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실제 영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만화가, 북디자이너인 저자의 경험담이기도 하다. 


특히 상실과 고통은 위대한 스승이에요. 가장 작은 순간들이 가장 위대한 방식으로 우리를 구원할 거예요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과 어쩌면 이것이 한 사람을 떠나보내면서 겨우 할 수 있는 사랑의 마지막 표현일지 모른다고 말하는 문태준 시인의 평에 격하게 공감하였고 만화컷들 외에도 꽤 많은 텍스트들이 담긴 페이지들에는 주옥같은 문장들이 가득하기도 했다.


단순히 치매를 앓게 된 어머니를 돌보는 신파 스토리 자체가 아닌 돌봄과 버팀, 인생과 사랑에 대한 철학적 사유도 엿볼 수 있는 책이었다. 2014년 겨울, 나이젤은 동생에게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엄마가 택시에서 내리다가 엉덩이뼈를 다쳤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수술을 위해 입원한 병원에서 어머니의 치매 판정 소식을 듣는다. 


병원에서 훌륭한 보살핌을 받고 얼마간 요양원으로 옮겨진 엄마는 집으로 가도 될 만큼 호전되어 그곳을 나서지만, 나이젤은 곧 국민건강보험과 사회복지 사이에 존재하는 커다란 틈을 마주하게 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돌봄과 탈시설과 관련된 여러 담론들이 활발히 논해지고 있는데 내가 만약 저자와 같은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될지 한참을 고민하기도 했다. 


국민건강보험이 물에 빠진 사람을 살려주고는 구명 튜브만을 던져준 채 혼자서 해안까지 헤엄쳐 가라고 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나는 심지어 해안에 있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링컨셔의 성인사회복지센터 책임자에게 장문의 편지까지 써야 했다.

나는 넓은 바다에 이렇게 크고 깊은 틈이 존재하는지 몰랐다. - p.49


살면서 딱 한 번만 하게 되는 말이 있다. 엄마가 돌아가셨다. 나는 차 한 잔을 마신다. 바깥에서는 사람들이 출근을 하고 있다. 오늘은 먹을 걸 사야 한다. 적당히 우스꽝스러운 기분이 든다. - p.161


연도를 본다. 1933-2017. 저 대시. 저 짧은 대시. 저것이 인생이다. 모든 게 다 저 짧은 문장 부호 안에 들어 있다. 당신이 하고, 생각하고, 보고, 꿈꾸고, 울고 웃은 모든 것. 당신의 전부. 저 대시 안에. -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