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찰지능 -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
최연호 지음 / 글항아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찰지능 


IQ가 아닌 EQ의 시대란걸 알게 된 것도 오래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이제는 InQ의 시대가 왔다는 주장을 설파하는 책을 만나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읽으며 그 주장에 완전히 설득되었다.    


특히 요즘 들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 알아차리고 세상을 살아갈지에 대한 개인적인 화두가 있었는데 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해주었고 4차 산업 혁명과 AI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도 제시해주었다.


책의 구성은 우선 저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InQ라는 키워드 설명부터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인간이 보이지 않는 것에 취약한 이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지 못하는 사람,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사람 등에 대한 이야기로 전개된다. 


가만히 보면 성공하는 사람에겐 다른 무언가가 있다. 그런 사람은 IQ와 EQ는 당연히 어느 정도 갖추고 있고 이에 더하여 두 가지 지능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매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세상을 꿰뚫어보는 ‘통찰’이다.


처음에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라는 저자의 이력이 의아하기도 했다. 의학 분야의 전문가가 쓴 인문학 책이면서도 자기계발적 요소까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여러 이야기들은 실제 의료 분야 경험이 바탕이 되어 여러 흥미로운 사례들을 읽어볼 수 있게 했다. 


그 외에도 한석봉 어머니와 고흐의 대결, 게슈탈트 전략으로 보기, 조선의 단발 기생 강향란, 만족 사고: 사람들이 사주팔자를 보러 가는 이유, 데릭 지터와 아지 스미스 중 누가 더 뛰어난 유격수인가?,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의 BTS, 박인비의 품격, 만성 질환 치료의 본질: 이스터섬의 비극, 나무꾼과 김신조, 부부 싸움: 명분과 실리 둘 다를 살리는 인생의 자습법 등 어디서도 접해보지 못했던 흥미로운 사례들에서 독창적인 해석과 인사이트를 도출해내는 과정이 즐거웠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열 가지 방법들을 나열하며 명쾌한 결론을 떠먹여주기도 한다. 통찰지능의 본질은 ‘과정’이다. 그리고 과정은 맥락이다. 그에 따라 결과가 나온다. 결과만 바라본다면 시야 사고, 지식 사고, 만족 사고만을 반복하게 된다.

인간의 통찰지능은 ‘메타인지’에서 꽃을 피운다. 메타인지란 ‘자신이 아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