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질서와 문명등급 -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에서 본 근대 세계
리디아 류 외 지음, 차태근 옮김 / 교유서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질서와 문명등급 


물리적, 심리적 국경과 나라별, 민족별 문명의 서열화는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형성되어온 것일까를 생각해보는 책으로 개인적으로는 처음 들어본 

‘문명등급론’ 이라는 색다른 주제로 인류 역사를 조명해보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특히 서양 백인 학자들의 책이 아닌 중국 출신 학자 11명이 공동으로 만든 일종의 글로벌 히스토리 연구 논문집이라는 점이 단연 돋보이는 기획이었다. 역사를 서양만의 편협된 시각이 아닌 균형잡힌 시각으로 해석해본다는 점만으로도 이 책의 큰 의미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동양의 작은 나라 대한민국이 세계의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컸고 그야말로 문명의 위상이 급변하는 시대에 필수적인 새로운 세대를 위한 글로벌 히스토리 연구를 읽어볼 수 있는 기회였다. 


책의 구성은 11인의 다양한 이력을 가진 저자들의 논문 열한개의 챕터로 엮여있는 형식이다. 문명론부터 국제법의 사상 계보, 대동세계의 구상, 세계박람회, 근대 편역으로부터 본 서학동점,  ‘서구 거울’에 비친 중국 여성, 언어등급과 청말 민초의 ‘한자혁명’, 중국 식물 지식의 전환과 분화 등의 생소하면서도 처음 보는 신선한 주제에 대한 읽을거리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면, 문명론은 지금도 사라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무의식중에 감화되어 더욱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파고들고 있다. 중국에서도 그것은 내재적인 역사논리로서 여전히 발전주의를 추동하고 있다. 또 구미 국가에서도 그것은 누차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도화선이 되고 있다. 역사가 증명하듯이, 이러한 문명론이 정치적 무의식의 방식으로 작동할 때 더욱 위험하다는 점을 인류가 모두 심각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서구 식민전쟁에 따른 결과는 이른바 ‘백인으로의 귀화(naturalizing whiteness)’ 과정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백인은 고상한 이성과 관리 능력을 구비하고 있고, 존경할 만한 덕성과 고도의 문명을 갖춘, 더욱더 국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것으로 묘사되었다.


중국에서 문명론은 마치 서구인이 가져다준 백설공주 계모의 거울과 흡사하다. 이것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서양 거울’ 속 자신의 추한 모습을 보게 함으로써, 화이관념의 자기과대 관념으로부터 깨어나게 하고, 서구문명론의 거울 이미지로 들어가도록 이끌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중국인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모범을 수립하여 진화를 추구하며 문명국가로 진입하고 궁극적 목표는 “동일한 지위로 만국공회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