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을 위한 과학기술, 시대를 통찰하는 안목을 위하여 - 10가지 키워드로 보는 정책 과제의 발자취와 전망
최성우 지음 / 지노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통령을 위한 과학기술


내가 대통령이 되자고 이 책을 집어든 건 아니지만 일반 국민들도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도약하기 위하여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과학평론가인 최성우 저자는 과학기술인이나 관련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딱딱하거나 어렵게 생각될 수 있는 몇몇 이슈에 대해 역사적 배경이나 재미있는 에피소드, 저자의 생생한 경험담을 버무려 만들었고 읽다보면 제발 대통령이 이 책을 읽고 과학기술에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생기기도 했던 책이다. 


책의 구성은 10가지 과학기술의 분야별로 주요 정책적 이슈들, 과거 역대 정부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흐름과 변화, 성공과 실패 사례,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 등을 명쾌하게 정리했다. 


저자가 언급하고 있는 10가지 분야는 기초과학부터 우주개발, 소재부품, 제4차 산업혁명, 감염병 대응, 탄소중립, 과학기술인력, 행정체계, 법령제도, 과학대중화 등이다. 개인적으로도 요즘 일론머스크의 테슬라와 스페이스X 등의 눈부신 발전을 부러워하며 우리나라도 지금의 4차산업혁명의 흐름에 뒤쳐지면 안 된다는 위기감을 느끼기도 했는데 이 책은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었다. 


특히 저자는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을 벗어나 이제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한 상황에서 이제는 과거와 같이 선진국의 사례를 모델로 삼아 급속히 따라잡는 방식의 이른바 ‘추격형 전략’은 더 이상 불가능하며 세계적인 기술 패권과 무한경쟁의 시대를 맞이하여, 여러 난제와 취약점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는 심각한 위기 상황에 빠질 우려도 지적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무엇보다 정부 차원의 큰 그림에 대한 개략과 함께 각 분야나 세부 정책들에 대해서도 면밀한 고찰과 평가가 필요함을 강조하며 성과가 컸고 성공적이었던 분야들은 그 요인을 잘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고, 부진하거나 실패로 돌아갔던 것들은 그 원인 및 경과 등을 철저히 고찰하고 반성함으로써 실패를 되풀이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고 이후에는 성공의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하길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