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를 위한 변론 -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와 윤리적 육식에 관하여
니콜렛 한 니먼 지음, 이재경 옮김 / 갈매나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고기를 위한 변론 


최근 개인적으로도 고기를 좋아하는 취향이지만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를 위해 채식주의 선택해야 되는거 아닌가 싶은 깊은 고민에 빠져있었다. 또한 넘쳐나는 다양한 학설과 주장,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사이에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이 책을 만났다. 



책을 읽으며 무엇보다 ‘지속가능한 육식’ 이라는 타협점을 만날 수 있어 반가웠고 나름의 개인적 결론을 도출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설득력있는 근거들을 읽을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되었다. 


저자는 기후변화, 물 부족과 오염, 사막화 등 지구환경 문제와 관련한 소의 혐의를 날카롭게 해부하고 한편으론 초지생태계와 생물다양성에 가축이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도 추적한다. 기존에 어렴풋이 흘려들었던 학설들과는 살짝 다른 이야기에 솔깃했는데 저자는 가축을 밀집 방목하되 자주 이동시킬 것을 주장한다. 방목은 토양 속 생물학적 활동을 촉진하고, 가축 배설물이 땅에 비옥도를 높인다. 가축 발굽이 토양 표면을 들썩여 씨앗을 밀어 넣고, 죽은 식물체를 흙에 다져 넣어서 토양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돕는다. 이 과정이 토양탄소와 식물탄소를 생성하고, 땅의 수분 보유량을 높인다. 이것이 세계 곳곳의 사막화를 멈추고 반전시킬 유일한 방법이다. 


뒤이어 소고기가 식품으로써 정말 우리 건강에 나쁜지,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 과연 그 해답인지도 분석해주는데 저자는 소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가 환경이나 건강에 해롭다는 생각 때문이라면 그건 정보 부족에 따른 오해라는 단언한다. 고기 섭취의 이점은 태고부터 알려져 있다. 인류의 원시 조상들은 주로 고기와 지방으로 연명하면서 채소, 과일, 씨앗, 견과류로 식단을 보충했다.


그 외에도 인간과 가축의 오래된 공생관계를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해법을 제안하기도 하는데 가축의 수가 아니라 가축이 어떻게 관리되는지에 관심을 쏟아야 하고 제대로 관리되는 방목은 우리가 현재와 미래에 세계를 무사히 부양하기 위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