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 기후의 역사와 인류의 생존
벤저민 리버만.엘리자베스 고든 지음, 은종환 옮김 / 진성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품절


기존에 기후변화나 온난화와 관련된 책들은 지금 현재 인간들의 무분별한 환경파괴에 대한 이야기와 경고들에 대한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번에 읽은 이책 <시그널>은 특이하게도 기후의 역사에 대한 내용이다. 지구가 탄생한 이래 기후가 변해왔는데. 그중 지구가 인간과 함께했던 그 시기를 다뤘다. 역사라하면 인간들의 그 문명과 전쟁과 이런저런 스토리가 펼쳐지는데 반해 이 기후의 역사는 정말 거대하고 스펙타클한 우주의 먼지로서의 인간을 실감하게 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 책이었다.


 기후의 역할과 기후변화가 인간에게 끼친 영향을 아주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였는데도 전혀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고 재밌게 한 줄기를 따라 읽을 수 있는 구성이었다.

지금 의외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기후와 관련된 폭넓은 지식과 연구가 필요하고 실제 선진국에서는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시그널>은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과 더불어 역사와 같은 인문학적 분야로 지식을 넓혀갈수 있는 책이다. 호모 사피엔스부터 현대인류, 빙하기부터 지구온난화까지. 인류의 흥망성쇠를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풀어는 문명과학사인데 어떻게 인류가 생존했고, 진화했으며, 미래 인류와 지구의 모습을 기후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먼저 1장 기후와 인류의 생존에서는  급격한 기후변화 속에 인류의 조상들은 어떻게 생본했는지에 설명한다

2장에서는 농업을 시작한 인류가 기후에 어떻게 적응했는지를 설명하고 3장에서는 로마제국, 중국의 한나라 등의 문명의 부흥과 몰락이 기후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되는지 아주 흥미진진한 스토리가 펼쳐진다.

그리고 4장 5장에서는 중세시대와  마지막 최대빙하기 이후 찾아온 소빙하기가 여러 국가들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이 부분이 우리나라 조선시대 힘들었던 시기와도 겹치는 아주 궁금했던 영역이었다.


 6장에서는 산업화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간들이 기후변화를 시킨 이야기가 시작된다. 마지막으로 7장과 8장에서는 이미 시작된 기후변화로 인한 세계 곳곳의 현상들,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논란과 대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런저런 과학서적을 찾아봤지만 이렇게 기후와 인문학적 지식들을 버무려서 재밌게 만들어낸 책은 없었던듯하다. 


홀로세에 기후와 인류 역사 모두 결정적인 전기를 맞이했다. 이전의 수만 년 동안 호모 사피엔스는 기후변동이 훨씬 급격했던 시기를 겪었다. 영거 드라이아스 이후에도 기후가 안정적이진 않았지만 그 변동폭은 훨씬 덜해졌다. 수천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우리는 이 안정적 기후를 표준으로 인식하고 있다. 인류 사회는 홀로세에 들어서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놀라운 변화를 겪었다. 수렵채집인으로 살았던 인류 종의 후손들은 차츰 농부가 되어갔다. 수렵채집인들이 순식간에 사라진 건 아니었지만, 농사를 짓고 대체로 복잡한 사회에서 생활하는 인구 비중이 늘어났다. 최근 들어 농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은 하락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농작물과 가축 사육을 홀로세 이전보다 훨씬 많아진 인구를 부양하는 기본적 수단으로 여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