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빨강은 없다 - 교과서에 다 담지 못한 미술 이야기 창비청소년문고 32
김경서 지음 / 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 보니 청소년 문고지만 내 수준에 딱 맞는 책을 만났다.

미술 책인데  현직중학교 미술교사가 학생과 대화하는 형식으로 미술이야기를 써내려갔다.

나의 미술 지식이 워낙 일천하다보니 일반 학생의 눈높이로 설명해주는 이야기가 딱 이해하기 쉬우면서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느낌이었다. 그에 더해서 풍부한 미술작품 사진 자료들이 읽기에 큰 도움이 되었다.


 기존 미술서적의 그 복잡한 미술사의 계보나 깊은 인문학적 교양이 필요한 내용이 아니란 점이 이 책의 큰 장점이다.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표현하고 생각한다는 세가지 큰 줄기에서 이야기가 펼쳐지는 접근 방법이 아주 독창적이라 생각한다. 아마도 미술교육을 어떻게 해야되는지에 대한 저자의 깊은 연구가 바탕이지 않나 추측된다. 

 

미술은 학창시절 정규 교육 과정이지만 수능시 과목이 아닌, 얇은 미술 교과서적은 수업시간이었다. 당연히 미술을 온전히 이해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울 수 없었다저자는  책을 통해 학교 미술 수업 시간에 미처 못다  이야기들을 풀어놓는다미술의 기초 개념들다양한 재료의 활용과 표현여러 가지 비평의 관점 등을 배울  있다. 

몬드리안의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미술 교과서에 단골처럼 등장하는 작품은 물론이고여성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가려면 벗어야 하는가?라며 남성 중심적인 미술계에 문제를 제기한 게릴라 걸스의 포스터처럼 개성 있는 작품들도 실렸다최소영의 집과 지용호의 버펄로처럼 색다른 재료를 활용하는 한국 젊은 작가의 작품을 살펴보는 재미도 선사한다미술은 고루한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현재와 호흡하며 우리 삶에 녹아 있는 것이라는 점을 생생하게 느낄  있다.


 거창하고 현학적인 미술 감상이 일반인들에게는 미술에 대한 장벽이라 생각한다. 책의 대화 속에서 선생님이 보라에게 강조하는 원칙은   가지바로 솔직할 이다

유명한 미술사가인 언스트 곰브리치는 이런 말을 했어미술이라는 것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다만 미술가들이 있을 뿐이다. 미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고정된 기준으로 판단하거나 정의 내릴  없다는 뜻이야다만 미술 작품을 창조하는 미술가들만이 존재한다는 거지미술 작품은  미술가들에 의해 새롭게 창조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발견해야  새로운 가치가 있어

실제로 추상이란 개념에는 추출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추상주의는 자연으로부터 아름다움의 핵심적 요소를 추출해 낸다는 의미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