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군주론 - 스타 강사 마키아벨리, 군주론을 강의하다
홍세훈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한테 군주론은 학창시절 사회과목에서 <마키아벨리-군주론>으로 암기만 했던 워딩들이다.
그러다 몇해전 직장상사로 부터 추천받은 도서목록에 시오노 나나미의 군주론이 포함되어 구입은 했지만 거의 읽어보지 않고 구석에 박혀 있는 책이다.
그러다 이번에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만화형식의 책이 역시나 위즈덤하우스를 통해서 출간되었다.

  16세기 피렌체에서 노량진으로 시공간을 이동한 마키아벨리가 학원에서 ‘최고의 군주가 되는 법’을 강의한다는 독특한 설정으로, 《삼국지》의 핵심 인물인 유비.관우.장비 등 차기 군주 지망생들이 그의 수업을 듣고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필요한 군주의 덕목과 조건이 무엇인지 배운다는 내용을 담았다.

 만화형식이라면 선입견에 내용의 깊이가 얕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이 들지만 중간중간  <Focus>등의 깊이를 보강하는 챕터들이 있다

 마키아벨리는 당시의 고전이 전달하는 통념을 거부하고 인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솔직하고 과감하게 제시했다. 덕을 베풀어 통치하라는 당대의 인식과는 달리 군주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신의를 저버릴 수도 있어야 하고, 함부로 자신을 넘볼 수 없도록 강력한 군사력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그는 군주가 여우와 사자를 닮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인간은 “배은망덕하고, 변덕스럽고, 위선과 가장에 능하며”, “선하지 않은 세상에서 선하게 행동하려는 사람은 얼마 못 가서 파멸”하기 때문에 덕치든 무력이든 상황에 맞게 잘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책에서는 위와 같이 《군주론》에서 제시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군주가 지켜야 할 덕목들을 하나씩 살펴본다. 총 21강으로 이루어진 마키아벨리의 수업을 따라가다 보면 《군주론》의 핵심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16세기 피렌체를 둘러싼 주변국의 정세, 역사적 상황과 사건, 주요 인물들의 활약상도 함께 배울 수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마키아벨리의 메시지를 어떻게 적용해볼 수 있는지 재미있는 에피소드와 함께 설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