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사랑 직지 눈높이 어린이 문고 96
조경희 지음, 박철민 그림 / 대교출판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과거 학창시절에 많이 출제 되었던 시험문제로 단순하게 직지심체요절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 생각해보면 알고 있었다고 말하기에는 너무 부끄럽다. 천년의 사랑 직지를 읽기 전에  직지심체요절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 보았다.

직지는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에서 온 말로써, 참선하여 사람의 마음을 바르게 볼때 그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으로 즉, "직지'는 직접 다스린다. 바른마음. 직접가리킨다. 정확하게 가리킨다.등의 뜻으로 쓰인다고 하며  정식 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로서 현재 실물이 전하는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이다.하지만 원본은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보관돼 있어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는 안타까운 현실로 남아 있다고 한다.

 소중한 우리 유산임에도 만날 수 없는 직지의 탄생 과정을 오누이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로 담아낸 천년의 사랑 직지는 만복이와 그 누이가 주인공이다. 어느 날 누나가 문둥병에 걸린 사실을 알게 되고 갖은 멸시와 핍박을 받다가 결국 마을에서 쫓겨나게 된다.정처없이 떠돌던 만복이는 병이 깊어진 누나를 업고 헤매다가 어느 산자락에 위치한 절을 찾게 되고, 누나는 결국 세상을 떠나게 된다.
 스님들은 그런 만복이에게 '달잠'이란 법명을 붙여 주고,수행의 길로 인도한다.만복은 자신의 잘려진 머리카락과 누이의 머리카락을 허리에 찬 전대에 한데 뭉쳐 놓고 갖은 고행을 겪으며 수행의 길로 들어선다.
 갖은 고초를 겪으며 수행을 하덩 만복이는 아니 달잠은 부처님의 말씀을 영원히 간직하기 위하여 금속활자를 만들기오 마음 먹지만, 활자를 모르던 만복이에게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하지만 갖은 고초를 겪은 후에 전대에 차고 있던 누이의 머리카락으로 누름솔을 만들어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쇠글자, 즉 금속활자를 탄생시키게 된다. 

 " 누야, 죽어서도 우리 떨어지지 말자!"
이렇게 외치는 만복이, 아니 달잠을 보고 있노라니 가슴 한 구석이 아려온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이지만 주변에서 잊혀지고 있는 직지를 소재로 하여 탄생된
천년의 사랑 직지와 같은 작품이 많이 탄생되기를 빌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