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 어렵고 복잡한 경제 뉴스를 술술 가장 쉬운 경제학 공부 ㅣ 무작정 따라하기 시리즈
테이번 페팅거 지음, 김정수 옮김 / 길벗 / 2021년 3월
평점 :

올해부터 적지 않는 나이지만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소액으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데 생각만큼 잘 되지 않고 있네요. 작년같이 우량주만 매수하여도 주식이 올라주는 환경이 아니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경제상식에 대해 무지한 이유도 있겠거니와 아직 경험이 미천하여 주식시장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것이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연히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는데 대충 훓어보니 단편적인 주제로 쉽고 재미있는 설명과 더불어 도표나 그래프등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경제상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것이 아닌가 생각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책은 어렵고 지루한것이 아닌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이 가장 좋은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달에 개정판으로 나온 책으로 차례를 통해 경제에 대한 다양한 상식을 접할 수 있지 않나 싶은데
본문은 경제학의 기원으로 시작하고 있네요.
기원전 7세기경 세계 최초의 동전이 사용되었습니다. p13
생각보다 오래전부터 경제적 활동을 위한 행위가 이루어졌음을 알수 있었는데 물론 그 이전시대부터 물물교환같은 다양한 영양분 섭취를 위한 활동이 있었음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지금부터 2천8백년전부터 화폐라는 수단으로 경제활동을 시작하였다고 하니 인류의 역사시대는 경제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 싶네요.
이렇듯 오래되고 현재에는 그 중요성이 더해져가고 있는 생존과 안락한 삶을 위해 필수적인 경제상식을 익히는 길만이 원하는 부(富)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요소라 할수 있겠죠
학창시절 배웠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 중상주의와 고전경제학 그리고 유명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무엇이든 배워서 나쁜것은 없다고 생각되네요. 결국 인간의 자신의 이긱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존재가 아닐런지
모든 경제활동에서 가격결정의 기본원칙이라 할수 있는 공급과 수요 곡선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한계효용이라는 뜻도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계효용이라는 단어는 실생활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단어는 아니지만 경제상식을 위해서는 차근차근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책을 보며 익히는것이 쉬운 방법이라 할수 있을것 같네요.
넛지는 작은 제안과 긍적적(혹은 부정적) 유인책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p53
일상에서도 어렵지 않게 듣게 되는 기회비용이라는 단어도 접할수 있었으며
공유지의 비극이란, 개개인이 공용 자원을 이용할 때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함으로써 자원이 훼손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p79
사례를 두가지를 들고 있어 쉽게 이해할수 있는 공유지의 비극, 결국 이러한 현상은 환경파괴와 함께 미래세대의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지구를 병들게 하는 현상이 아닐까 싶네요. 정말 인간의 이기심의 끝은 어디까지일까요?
경제상식을 하나하나 알수록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책이 입문용으로 참 좋은 책이라 생각되어지네요.
매년 이슈가 되고 있는 최저임금과 뉴스에서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인구고령화 문제까지. 참으로 다양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는 알찬 경제상식들로 구성된 책이 아닌가 싶은데

낙수효과는 고소득층의 소득이 증가하면 경제 내 다른 사람들에게도 부가 흘러 들어 모두를 이롭게 한다는 이론입니다. p170
낙수효과가 기대만큼 효과를 거두기 힘든다는 사실은 정책의 결과로도 잘 알려진 바라 할수 있겠는데 모든것은 인간의 이기심이 문제가 아닐런지? 자신과 타인을 함께 생각하는 인간들이 많아지지 않는 이상 부의 편중 현상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심해질 뿐이겠지요.
지금 미국의 양적완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의 위험이 증가하는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과 문제점들을 인식할수 있는 계기도 되었고요.
작년 코로나 이후 우리사회에서 급격한 문제도 대두되고 있는 실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나마 설명되어 있고 종종 듣게 되는 국가채무가 필요한 이유도 4가지를 알수 있게 되어 국가채무가 마냥 나쁜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기도 하였습니다.
통화가 가지는 구매력이란, 특정한 재화 한 묶음을 구매하는 데 필요한 통화의 양을 일컫습니다. p237
최근 가격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고 있어 세인(世人)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비트코인까지 현시대를 반영하고 있기도 하여 경제상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가 개정판으로 출간되는 이유를 알수 있을것 같았습니다.
세계화는 세계 각국의 경제가 통합화되고 상호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계화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세계'를 향해 움직이며, 국경의 중요성은 줄어듭니다. p306
총 101가지 주제로 다양한 경제적 지식을 습득할수 있었으며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도움이 될만한 훌륭한 입문서로의 가치를 가진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였습니다.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