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3000년 전 사람들의 일상으로 보는 진짜 이집트 문명 이야기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총 24장(하루 24시간)으로 구성된 이 책은 아멘호테프 2세 제위때를 기준으로 팩션(사실을 토대로 한 소설)이라고 하니 우리에게는 접하기 힘든 3천년 전 고대 이집트의 실상을 소상히 알수 있지 않나 싶네요.


아멘호테프 1세의 부인 메리타문 여왕의 무덤 도굴을 통해 당시 사회상과 풍습 그리고 도굴꾼들의 재판 기록을 확인할수 있어 지금과는 다른 법 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기준이 아닌 당시의 사회통념이나 사상을 기준으로 그 시대를 바라보는것이 역사를 배우고자 하는 자들이 지녀야 할 공통적인 가치관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미라를 만들기 위해 심장을 제외한 다른 기관들을 몸에서 제거한다고 하니 이는 시신의 부패를 막기 위한 과학적인 원리가 아닌가 싶으며 내장이 담긴 병들과 미라가 함께 한다고 하니 이는 영생(生)을 꿈꾸던 고대 이집트인들의 믿음으로 생긴 장례의식이 아닌가 합니다.


세계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처럼 시대나 지역(국가)에 따른 망자(亡者)를 위한 의식이 비슷하거나 동일할수도 있을수 있지만 다른 의식을 가진 민족이나 지역도 있다는 점은 인간이 원활한 교류상태가 될수 없는 환경에서 생겨난 문화의식의 차이때문이라고 할수 있겠죠.


이집트인의 치아가 성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니 자연적인 현상앞에 인간의 무력함을 느낄수도 있었으며 맥주를 마셨다고 하니 생각하지도 못했던 맥주의 역사가 인류와 함께 수천년전부터 존재하였다는 새로운 사실도 실감할수 있었네요. 개인적으로 술은 좋아하지 않아 큰 관심은 없지만 인류사에서 보면 술(酒)은 불(火)과 함께 인류의 역사에서 빼 놓을수 없는 요소가 아닌가 싶네요.


파피루스는 종이 대용으로 알고 있었으나 책을 통해 낚시배를 만들수 있었다는 놀라운 사실도 접할수 있었네요. 배움에는 끝이 없다고 하는데 많은것을 알게 된 계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위험한 악어와 하마에 대한 글도 수록되어 있어 위험성을 충분히 인식할수도 있었으며





무덤에서 나온 글귀로 당시의 재판 풍경을 알려주기도 하고 있으며 고관대작들이 여러 직위를 겸직하였다는 사실은 고대사회임을 알려주는 증거가 아닌가 생각되네요. 또한 장례식에서 볼수 있는 전문 울음꾼들이 존재하였다는 점은 지금과는 다른 가치관이 존재하였음을 알수있지 않나 싶고 목수와 보석 세공사도 등장하고 있어 그들의 뛰어난 손기술도 인식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 존재하였던 다양한 직업들과 생활상 그리고 자연조건 등 다체롭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접할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다고 여겨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