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과 영감을 더하는 전국 문구점 도감 - 문구인이 사랑하는 전국 문구소품샵 35곳
모두의 도감 편집부 지음 / 모두의도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전국의 문구점 35곳을 각 문구점의 개성이 잘 어울리는 키워드(목차에 쓰인 '감성의 수집', '디자인의 세계', '기록의 시작' 중 하나)에 따라 분류하고 기록했다. 각 문구점이 가진 철학, 역사, 감성들을 소개하는 본문과 함께 사진으로 문구점의 공간과 대표 문구들을 직접 보여준다. 온갖 필기구부터 다양한 스티커, 엽서, 키링, 스탬프 등등 취급하는 문구의 종류도 정말 많아서 보는 재미가 있다. 문구점과 제품 사진만으로도 화사하지만 문구 자랑하는 페이지에서는 특히나 구성도 조금 더 자유롭고 깔끔하지만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것도 포인트.



소싯적(?) 필통 여러 개에 다꾸용 볼펜 꽉꽉 담아본 적 있고, 지금도 마스킹 테이프와 스티커가 나름 풍족한 책상을 구비하고 있는 어른이지만 스스로 문(구)덕(후)이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실제로 이 책에서 알고 있던 문구점이 하나도 없었다... )그래도 책상 위를 차지하는 여러 문구들을 늘 좋아했기 때문에 이 책이 무척 흥미로웠다. 대표 문구들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고 다양한 문구점의 철학은 곧 문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마음과 비슷한 결이 있어서 공감하기 쉬웠던 것 같다. 




복닥복닥 사람에 치이는 일러스트 페어에 지쳤다면 도장 깨기처럼 전국의 문구점을 하나하나 방문해 보는 건 어떨까? <취향과 영감을 더하는 전국 문구점 도감>은 그 여정으로 딱 좋은 문구점들을 소개해 주는 책이다. 


책을 통해 맛보기로 각 문구점의 주력 상품과 매력을 맛보기로 알아봤다면 이제 실제로 가서 만끽할 일만 남았다.(개인적으로 가장 먼저 가보고 싶은 곳은 '성북동 엽서가게'다. 비아르쿠 향기 나는 연필이 갖고 싶다!) 국내 여행을 할 때 독립서점을 하나씩 루트에 은근 슬쩍 끼워 넣는 편인데 이제 문구점도 하나씩 늘어날 것 같다. 실제 방문 시 문구점의 주소는 책의 맨 뒤 지역별로 정리되어 있는 주소록을 참고하기를.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ellow Green] 2026 편한 가계부 2026 편한 가계부
소울하우스 지음 / 소울하우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2024년에 이어 두 번째로 사용하게 된 <편한 가계부>다. 처음 사용할 때도 만족하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더더욱 호감. 널찍한 사이즈와 얇고 가벼운 판형, 깔끔함을 유지해 줄 커버 등 마음에 쏙 들었던 외형이 그대로 유지되어 좋았다. 매년 쓰는 분들도 나란히 보관할 때 부담되지 않은 얇은 두께라 좋은 것 같다. 개인적으로 2024년 편한가계부를 쓰고 2025년 쓰지 않았을 때의 차이를 꽤 느꼈던 터라, 내년을 준비하며 다시 만나게 되어 너무 반가웠다. 



외형을 좀 더 이야기하자면 2026년도 판은 Pastel Pink, Coral Peach, Yellow Green, Lavender 이렇게 4가지 색의 버전으로 나왔다. 나는 사진을 찍으면 노랑빛이 강해 보이지만 실제 눈으로 보면 오묘한 연둣빛이 도는 Yellow Green을 선택. 서평단으로 책을 받으면서 2025년 버전(색은 apple green)도 추가로 증정 받았는데 나란히 놓고 보니 부드러운 색감이 더 매력적이다:) 2026 편한가계부는 2025년 10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15개월 분량의 내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바로 사용이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 나는 이왕 선물 받은 2025년 버전으로 연습 겸 하반기를 다시 기록해 보며 함께 사용할 예정이다. 






내가 느낀 <2026년 편한가계부>의 장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매력적인 외형 - 얇고 가벼움, 큼직한 페이지(182x255mm), 오염 방지 커버 등

2. 알찬 사용방법 안내와 소비습관 관련 팁제공 - 가계부 처음 사용하는 사람한테 특히 유용함

3. 15개월 분량의 내지를 제공(2025년 10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4. '편한엑셀가계부'도 무료제공 - (가계부 내지에 QR로 제공된다)온라인 기록이 편리한 사람이라면 반가울 옵션



이 밖에도 편한가계부 특유의 한 달 달력과 소비 기록 페이지가 한눈에 보이는 내지 구성은 가계부를 간단한 다이어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주로 비고정지출이 늘어나기 쉬운 약속을 미리 적어두면 지출 규모를 예상하거나 조절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내지 구성은 크게 달라진 점은 없지만 달력 안에 그날의 지출 총액을 적을 수 있는 ₩표시가 추가된 점이 눈에 띄었다.


폰을 항상 달고 다니면서도 온라인 기록은 자주 느슨해지곤 해서, 개인적으로는 종이에 직접 쓰는 가계부가 더 잘 맞는 편인 것 같다. 다만 전부 기록 후에 합계를 수동으로 내는 게 조금 귀찮았는데 편한 엑셀가계부도 함께 받았으니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양쪽 다 활용해 볼 예정이다. 앞으로도 종이 가계부를 사용한다면 쭉 정착하고픈 책 :)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긴 매듭
배미주 외 지음 / 사계절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모계전승서사, 모녀서사라는 테마로 쓰인 단편들을 모은 앤솔러지. 작가로서도 이번 책에 참여한 길상효작가님이 기획한 책이라고 한다. 참여한 작가님들을 대부분 알고 있어서 더 읽고 싶었고, 모녀서사라고 하면 떠오르는 애틋하거나 진득한 애증을 기대하며 책을 펼쳤다. 하지만 모녀 혹은 모계전승에서 시작했을 이야기들은 각자 쉬이 짐작할 수 없는 방향으로 뻗어나갔고, 기대하던 방향과는 달리 뻔하지 않아서 오히려 좋았다.



"흠흠, 이건 우리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한테서 내려오는 애긴데..."
해린은 늘 그렇게 이야기를 시작했다.

<행성의 한때>,길상효 - 본문 중 99p


하나하나의 단편을 감상하는 것도 좋았고 통틀어 모녀서사, 모계전승서사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각 소설을 나름대로 해석하고 엮어가는 것도 재미있었다. 이야기에 따라 약간은 괴팍하고 쉽지 않은 것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많이 무겁지 않고 풍부한 이야기들이 있었다. 각 단편의 뒤에는 작가의 문답이 이어지기 때문에 궁금한 부분이나 작가의 의도에 대한 힌트를 바로 얻을 수 있는 점도 좋았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게 읽은 단편은 길상효 작가님의 <행성의 한때>이다. 해린의 할머니가 남긴 말을 추적하고 상상하는 것도 재밌었고 문답에서 알려준 작가님의 의도도 인상적이었다.



엄마와 딸 사이에 반복되는 것들, 전승의 기원을 찾기도 어렵고 쉽사리 거부하거나 받아들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모녀서사라고 할 때 나는 개별적인 어머니라는 인물과 딸이라는 인물을 상상하며 그 둘 사이의 이야기를 떠올리곤 했는데, 모계전승서사가 함께하자 수많은 어머니들과 수많은 딸들의 이야기가 되었다. 오랜 기간 이어져오며 유지되었더라도, 지금의 딸들 그리고 더 후대의 딸들에겐 더 많은 선택지가 있을 수 있기를 바라게 되는 이야기들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채의 이름 - 보태니컬 아트와 함께하는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산탄 에이지 그림, 명다인 옮김 / 니들북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식물학자가 알려주는 밥상 위에 올라오는 야채 혹은 채소 이야기들. 본문을 보면 일본에서 인기 있는 야채들(식탁에서나 텃밭에서나)로 채워진 목차인 것 같은데, 기후가 비슷한 우리나라에서도 익숙하고 많이 먹는 재료들이 많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야채의 모습은 마트에서의 모습 혹은 요리되기 직전이나 직후의 모습이 전부인 건 아닐까? 하나의 식물로서 씨앗이 자라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이 되기까지 과정은 어떤지, 우리가 먹고 있는 식용 부위는 잎, 줄기, 뿌리, 꽃, 열매 중 어디인지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을까?


본문은 야채 하나마다 첫 장의 구성이 같다. 왼쪽 페이지는 보태니컬 아트로 그린 야채 그림, 오른쪽엔 서두를 여는 짧은 글과 요약정보 그리고 실물 사진 한 장. 사진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보태니컬 아트로 문을 열고, 뒤로 이어지는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에는 작은 사진들을 풍부하게 첨부했다.


최소한의 식물학 정보를 포함해서 식재료로서 자리 잡은 역사라던가 식문화 관련 사람들이 잘 모를 법한 흥미로운 이야기 등등 다양한 이야기를 전한다. 각 이야기가 짤막하게 나누어져 있어 술술 읽히는 편이고, 마지막 페이지는 그 식물을 이용한 막간 실험(약간 아이들의 자연탐구 과제 같기도.. )이나 겉모습이 비슷한 식물을 소개하는 미니 코너(?)도 있다. 어른들이 가볍게 읽기에도 좋고 아이들과 함께 읽기에도 좋은 책인 것 같다.


목차를 보고서는 너무 익숙한 채소들이라 색다른 이야기가 무엇이 있을까 궁금했는데 꽤 많았다. 원산지, 제철, 꽃말 등등의 소소한 정보도 그렇지만, 토마토처럼 딸기도 과일이 아니라 야채로 분류된다는 것, 우엉은 일본과 한국에서만 먹는다는 것 등등 몰랐던 토막정보들도 재미있게 읽었다. 실제 사진과 사진 뺨치는 매력적인 보태니컬 그림들과 함께, 식물로서의 야채를 조금 더 알아가게 돕는 책이다 :)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픔의 틈새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
이금이 지음 / 사계절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러일전쟁이 끝난 후 러시아 땅인 사할린 남쪽을 일본이 넘겨받게 되었는데 일본은 그 지역을 '가라후토'라 명명했고, 조선 사람은 한자의 음대로 '화태'라고 불렀다. 탄광, 벌목장 등 일본이 빼앗은 땅의 풍부한 산림자원을 개발하기 시작하자 먹고살기 위해 자발적으로 그 땅을 찾는 조선인들도 있었다. 주인공 단옥의 아버지 만석은 홀로 화태에 가서 탄광 일을 하며 조선에 있는 가족들에게 돈을 부쳤고, 남은 가족들이 다 함께 화태로 이주하기로 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단옥은 그렇게 사할린에 처음 발을 들였고 힘겨웠을지언정 단단하게 뿌리를 내린다. 



"  1945년 8월 15일은 조국이 해방을 맞은 날이지만, 사할린 한인들에겐 그로 인해 다시 한번 고향과 가족을 잃게 된 날이었다.  "

- 본문 중 412p 




책 속에서 단옥의 이야기는 1943년에 시작해 2025년 현재까지 이어진다. <슬픔의 틈새>는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인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디아스포라 3부작의 마지막 책이다. 일제강점기에 강제 이주를 겪어 세계 곳곳으로 보내진 한인 1세대들은 대부분 광복 이후에도 남의 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아주 긴 시간에 걸쳐 다시 소식이 닿고 귀환의 기회는 드문드문 찾아왔다. 


남의 땅에서 삶이 녹록지 않더라도 주인공 주단옥은 자신이 동경했던 제인에어처럼 당당하고 야무진 어른으로 자랐고, 자신의 삶을 단단하게 채워나간다. 고통과 슬픔이 없다면 분명한 거짓이지만 그 틈새에서 작은 행복을 찾아내고 더 크게 키워내는 것이 단옥의 특기였다. 그것은 타고난 품성인 것 같기도 하고 삶에서 단련해 만들어낸 기술 같기도 했다. 그래서 단옥이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하나씩 이루어내는 모습이 더욱 눈부셨다. 



" 단옥과 한인들은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서 강제 이주로 겪은 고통에 대해 온정이나 동정이 아니라 제대로 된  사과와 정당한 보상을 바랐다. 또한 이곳에서 살아낸 삶에 존중과 위로를 받기를 원했다. " 

-본문 중 416p


우리는 필수적으로 근현대사를 배우지만 그 시대를 살아낸 이들 중 먼 땅에 자리 잡은 한인들의 삶에 대해서는 아직도 모르는 것이 많다. 단옥의 삶을 읽어가며 더욱 느꼈다. 그들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정책과 조치들에 휘둘리기도 하고, 조국과 관련된 다양한 소식에 늘 귀 기울이고, 강제로 단절되었던 여러 것들과의 끈을 놓치지 않도록 붙잡고, 치열하게 고민하며 단단하게 서있을 수 있도록 자신의 삶에 뿌리내리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소설에서는 단옥의 가족(+가족과 같은 이들)을 포함한 같은 시기, 사할린에서의 삶을 살아가는 많은 이들의  이야기가 함께 다루어진다. 그들의 이야기를 읽을수록 개인의 삶과 역사가 교차하는 세밀한 장면들을 매우 풍부하게 다룬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인들의 분투와 단단한 연대, 고향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 소설로 그려진 그들의 삶을 통해 잘 몰랐던, 하지만 기억해야 할 역사의 작은 틈새를 들여다본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