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연잎이 말했네 보림 창작 그림책
장영복 지음, 이혜리 그림 / 보림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영복 작가와 이혜리 작가가 오랜만에 다시 만나 잔뜩 기대를 <가시연잎이 말했네> 만났다.

가시연. 그냥 연은 알겠는데 가시연이라니, 생소하기 짝이 없었는데 포털 사이트에서 가시연을 찾아 사진을 보며 식물적 특징을 읽다보니 장영복 작가님이 가시연의 어떤 매력에 '꽂혔는지' 조금 알것도 같았다.

개구리의 시선으로 가시연잎을 만나는 책은

잔뜩 가시를 품은 가시연잎이 새로운 친구들을 하나 하나 만나고 헤어지며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여정을 담고있다.

처음에는 온통 가시 투성이었던 가시연잎. 개구리는 '가시가 다치지 않게' 연잎에 내려앉아 가시연잎이라는 배를 타고, 가시연잎은 자신에게 다가온 개구리에게 연못보다 넓은 바다로 나가자고 한다.

당연히 둘은 많은 것을 만난다. 둘을 삼킬듯이 커다란 파도는 가시연잎이 따가워 다시 뱉어낸다. 가시연잎의 가시를 탐내는 복어에게 기꺼이 가시를 내어주는 가시연잎. 복어가 가시를 가져가니 가시연잎은 오히려 홀가분해 한다. 바다에서 다른 친구들을 넓은 마음으로 태워주는 가시연잎. 모두가 모여 함께 가시연잎을 타고 있으니 이제 그들은 파도도 삼키지 할만큼 튼튼한 존재들이 된다.

그들은 '우리' 되어 해질녘까지 아름다운 시간을 보낸다.

이젠 이상 파도도 '우리' 삼키지 못하고 구름은 평온히 흘러간다. 우리는 가시를 벗어내고 함께 흘러와 단단한 존재가 되어 지는 풍경을 바라보며 묻는다. “우리도 아름다울까”. 모든 힘든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눈에 드는 것이 모두 아름다웠을까? 아니면 모두가 함께 바라보아서 풍경이 아름다웠을까.

각자의 길로 떠나야 시간. 바다 손님은 바다의 품으로, 육지에서 개구리와 가시연잎은 노을 속으로.

가시연잎은 "함께여서 좋았다" 개구리와 작별을 한다.

나는 개구리일까 가시연잎일까, 아니면 바다 손님일까.

가시연잎은 닿기만 해도 상처가 만큼 독한 가시를 품었지만 개구리는 몸이 다칠 염려를 하지 않고 가시연잎에게 다가갔다. 오히려 가시연잎의 가시가 다치지 않을까 조심스레 다가갔다. 그런 개구리의 용기 덕분일까. 가시연잎은 혼자서는 꿈꾸지 못했을 넓은 세상으로 개구리와 함께 있었다.

자신을 보호해줄 가시를 필요한 존재에게 선뜻 내어주며 흐르듯 흘러가는 가시연잎. 그렇게 내어주었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을 만나고 '우리' 라는 존재가 되었겠지.

나는 삶으로 다가오는 존재에게 얼마나 손을 내밀었을까. 가시를 원한다면 기꺼이 내어 주었을까. 거친 파도가 기다려도 '우리' 라서 힘을 내어 바다로 나갈수 있었을까.

언뜻 가시연잎은 다가오는 존재를 기다리기만 소극적인 존재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찾아온 이들을 내치지 않고 넓은 품으로 태워주었다. 가시연잎이 복어에게 가시를 내어주지 않았다면, 돌고래와 가오리와 대왕문어를 태우지 않았다면, 아름다운 하늘을 있었을까, 자신이 아름답다는 알아차렸을까.

다시 연못으로 돌아와 작별한 개구리와 가시연잎은 다시 혼자가 되어도 살았겠지. 우리가 아름다운 때의 기억을 곱씹으며 새로운 추억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처음에는 책이 부모와 자식, 혹은 부부같은 '관계' 대한 이야기로 읽혔는데 여러번 읽다보니 인간의 생의 줄기를 보는듯한 '시간' 대한 이야기로 읽히기도 했다. 나이가 먹고 지혜가 쌓이며 내려놓는 , 내어주는 법을 배워가고 그러면서 사람, '우리' 공고히 해가는 그런 이야기 말이다. 어차피 인간은 혼자 와서 혼자 간다지만 삶은 가장 아름다운 순간들을 함께한 추억의 힘으로 계속 되기 때문이다.

장영복 작가님의 잔잔하지만 힘있는 시와 이혜리 작가님의 영화 같은 그림이 함께한 책은 이변이 없는 2019년의 책이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 년 묵은 고양이 요무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63
남근영 지음, 최미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인상적인 사진을 보았다.

브라질의 한 노숙자가 자신의 음식을 아껴 유기견들에게 나눠주곤 했는데

그 노숙자가 갑자기 쓰러져 응급실로 실려가자 그 유기견들이 우르르 병원으로 쫓아가

문 앞에서 걱정스러운 모습으로 안을 살피는 사진이라고 했다.

그 개들의 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속에 울컥 하는 무언가가 나를 자극했다.

그 전부터 궁금했는데,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들에게 얻는 위로라는게 과연 어떤 정도일까.

어른이 되어서도 그림책으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다는 남근영 작가의 글은

그 위로의 크기를 짐작케 한다.

<백 년 묵은 고양이 요무> 의 할머니는 늘 고양이 요무에게 퉁박을 놓지만

밥할때면 으레 쌀 한 줌을 더 넣는 '츤데레' 할머니이다.

어린 손녀 영지는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 할머니를 조르지만

"짐승에게 정 주는거 아니다" 라는 할머니 말씀에 뜻을 접는다.

할머니는 짐승에게 왜 정을 주지 말라고 하셨을까?

일하는 엄마 대신 영지를 봐주고 계시는 할머니는

영지가 엄마에게 돌아간 후 누구보다 외로워질 존재임에 분명한데,

누구보다 의지할 존재가 필요한 사람인데.

그건 아마도 할머니의 대사로 짐작하건데

나중에 혼자 남겨질 동물을 오히려 걱정하시는듯 하다.

할머니는 어느 누구보다도 혼자있는 외로움을 잘 아시는 분이 아닐까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몸살에 앓아누운 할머니 곁을 지키는 요무나

새끼를 낳은 요무를 위해 삼계탕을 끓여내 주시는 할머니를 보면

어느 누구보다도 둘은 서로를 의지하며 위하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렇게 사람은 동물에게 정을 주고, 동물은 말없이 곁을 지켜준다.

때론 사람보다 더 든든하고 깊이 외로움을 달래주는 존재,

그래서 할머니는 요무를 백년묵은 요물이라고 하셨을거다.

쉽게 술술 읽히며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따뜻하고 기분 좋아지는 그런 책이다.

사진 설명을 입

얼마전 인상적인 사진을 보았다.

브라질의 한 노숙자가 자신의 음식을 아껴 유기견들에게 나눠주곤 했는데

그 노숙자가 갑자기 쓰러져 응급실로 실려가자 그 유기견들이 우르르 병원으로 쫓아가

문 앞에서 걱정스러운 모습으로 안을 살피는 사진이라고 했다.

그 개들의 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속에 울컥 하는 무언가가 나를 자극했다.

그 전부터 궁금했는데,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들에게 얻는 위로라는게 과연 어떤 정도일까.

어른이 되어서도 그림책으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다는 남근영 작가의 글은

그 위로의 크기를 짐작케 한다.

<백 년 묵은 고양이 요무> 의 할머니는 늘 고양이 요무에게 퉁박을 놓지만

밥할때면 으레 쌀 한 줌을 더 넣는 '츤데레' 할머니이다.

어린 손녀 영지는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 할머니를 조르지만

"짐승에게 정 주는거 아니다" 라는 할머니 말씀에 뜻을 접는다.

할머니는 짐승에게 왜 정을 주지 말라고 하셨을까?

일하는 엄마 대신 영지를 봐주고 계시는 할머니는

영지가 엄마에게 돌아간 후 누구보다 외로워질 존재임에 분명한데,

누구보다 의지할 존재가 필요한 사람인데.

그건 아마도 할머니의 대사로 짐작하건데

나중에 혼자 남겨질 동물을 오히려 걱정하시는듯 하다.

할머니는 어느 누구보다도 혼자있는 외로움을 잘 아시는 분이 아닐까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몸살에 앓아누운 할머니 곁을 지키는 요무나

새끼를 낳은 요무를 위해 삼계탕을 끓여내 주시는 할머니를 보면

어느 누구보다도 둘은 서로를 의지하며 위하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렇게 사람은 동물에게 정을 주고, 동물은 말없이 곁을 지켜준다.

때론 사람보다 더 든든하고 깊이 외로움을 달래주는 존재,

그래서 할머니는 요무를 백년묵은 요물이라고 하셨을거다.

쉽게 술술 읽히며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따뜻하고 기분 좋아지는 그

얼마전 인상적인 사진을 보았다.

브라질의 한 노숙자가 자신의 음식을 아껴 유기견들에게 나눠주곤 했는데

그 노숙자가 갑자기 쓰러져 응급실로 실려가자 그 유기견들이 우르르 병원으로 쫓아가

문 앞에서 걱정스러운 모습으로 안을 살피는 사진이라고 했다.

그 개들의 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속에 울컥 하는 무언가가 나를 자극했다.

그 전부터 궁금했는데,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들에게 얻는 위로라는게 과연 어떤 정도일까.

어른이 되어서도 그림책으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다는 남근영 작가의 글은

그 위로의 크기를 짐작케 한다.

<백 년 묵은 고양이 요무> 의 할머니는 늘 고양이 요무에게 퉁박을 놓지만

밥할때면 으레 쌀 한 줌을 더 넣는 '츤데레' 할머니이다.

어린 손녀 영지는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 할머니를 조르지만

"짐승에게 정 주는거 아니다" 라는 할머니 말씀에 뜻을 접는다.

할머니는 짐승에게 왜 정을 주지 말라고 하셨을까?

일하는 엄마 대신 영지를 봐주고 계시는 할머니는

영지가 엄마에게 돌아간 후 누구보다 외로워질 존재임에 분명한데,

누구보다 의지할 존재가 필요한 사람인데.

그건 아마도 할머니의 대사로 짐작하건데

나중에 혼자 남겨질 동물을 오히려 걱정하시는듯 하다.

할머니는 어느 누구보다도 혼자있는 외로움을 잘 아시는 분이 아닐까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몸살에 앓아누운 할머니 곁을 지키는 요무나

새끼를 낳은 요무를 위해 삼계탕을 끓여내 주시는 할머니를 보면

어느 누구보다도 둘은 서로를 의지하며 위하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렇게 사람은 동물에게 정을 주고, 동물은 말없이 곁을 지켜준다.

때론 사람보다 더 든든하고 깊이 외로움을 달래주는 존재,

그래서 할머니는 요무를 백년묵은 요물이라고 하셨을거다.

얼마전 인상적인 사진을 보았다.

브라질의 한 노숙자가 자신의 음식을 아껴 유기견들에게 나눠주곤 했는데 그 노숙자가 갑자기 쓰러져 응급실로 실려가자 그 유기견들이 우르르  병원으로 쫓아가 문 앞에서 걱정스러운 모습으로 안을 살피는 사진이라고 했다.


그 개들의 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속에 울컥 하는 무언가가 나를 자극했다.


그 전부터 궁금했는데,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들에게 얻는 위로라는게 과연 어떤 정도일까.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나로써는 늘 궁금한 일이었다.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도 그림책으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다는 남근영 작가의 글은 그 위로의 크기를 짐작케 한다.



<백 년 묵은 고양이 요무> 의 할머니는 늘 고양이 요무에게 퉁박을 놓지만 밥할때면 으레 쌀 한 줌을 더 넣는 '츤데레' 할머니이다.

어린 손녀 영지는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 할머니를 조르지만

"짐승에게 정 주는거 아니다" 라는 할머니 말씀에 뜻을 접는다.


할머니는 짐승에게 왜 정을 주지 말라고 하셨을까?

일하는 엄마 대신 영지를 봐주고 계시는 할머니는

영지가 엄마에게 돌아간 후 누구보다 외로워질 존재임에 분명한데,

누구보다 의지할 존재가 필요한 사람인데.


그건 아마도 할머니의 대사로 짐작하건데

나중에 혼자 남겨질 동물을 오히려 걱정하시는듯 하다.

할머니는 어느 누구보다도 혼자있는 외로움을 잘 아시는 분이 아닐까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몸살에 앓아누운 할머니 곁을 지키는 요무나

새끼를 낳은 요무를 위해 삼계탕을 끓여내 주시는 할머니를 보면

어느 누구보다도 둘은 서로를 의지하며 위하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렇게 사람은 동물에게 정을 주고, 동물은 말없이 곁을 지켜준다.

때론 사람보다 더 든든하고 깊이 외로움을 달래주는 존재,

그래서 할머니는 요무를 백년묵은 요물이라고 하셨을거다.

쉽게 술술 읽히며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따뜻하고 기분이 좋아진다.

'슈퍼히어로의 똥닦는 법', '삼백이의 칠일장' 등으로 이미 잘 알고있는 최미란 작가님의 따뜻한 그림체도 퍽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사랑 뚝딱뚝딱 우리책 8
강경수 지음 / 그림책공작소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그 소녀가 된 듯 주책맞게 베시시 웃으며 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해 아니요군 - 엄마라서 반짝이는 순간들
노인경 지음 / 이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아이 사이에도 이런 반짝이는 순간들이 있었지. 그걸 기록해 두었더라면. 그걸 그 순간에도 알았더라면 육아는 훨씬 견딜만했을텐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 하고 놀까?
김슬기 지음 / 시공주니어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놀이를 꼭 닮은 동물들의 유쾌한 놀이 한 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