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해 용서하라 - 마음을 다스리는 책 2
텐진 갸초(달라이 라마) 지음, 도솔 옮김 / 미토스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한때 독실하진 않아도 크리스천이라고 스스로를 생각했으나 불교적 자료에 접근해갈수록 불교가 점점 더 진지하게 와닿을 때가 있습니다. 달라이 라마의 나라 티베트를 성지순례하듯 가보고 싶단 생각도 오래전부터이고. 법정 스님을 비롯, 명진스님의 말씀에도 자꾸 귀를 기울이게 되고.

"현실을 떠나서는 종교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픕니다. 중생과 살아가는 게 우리 종교인의 삶입니다. 부처님도 흉악한 살인자에게 가서 멈추라고 하고 항복을 받아냅니다. 살생을 하고 중생을 죽이고 있는데도 염불이나 외우고 가만히 있다는 건 예수나 석가가 가는 길이 아닙니다."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명진스님이 했던 말씀.

이 책은 한때는 동지였으나 이제는 회복하기 힘든 상처를 내고 서로 아파하는 지인들에게 권할 생각으로 구입했던 책이었습니다. 상대가 아닌 자신을 위해 용서하라는 말을 해주고 싶어서.

 

그런데 읽다보니 이전에 읽은 달라이 라마의 <관용>과 같은 책을 번역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전 <관용>에 나왔던 '마음을 변화시켜주는 8편의 시'등이 중복됩니다. 그래도 이 책의 번역이 훨씬 매끄럽고 내용전달도 쉽네요.
그리고 특히, 분노와 증오 같은 내부의 파괴적인 적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한, 우리가 파멸에 이를 가능성은 늘 존재하기에 타인을 위해서가 아니라 내 자신을 위해 용서해야 할 것들은 용서해야 한다는데 동의합니다.

그들은 미국에는 정신질환자가 상당히 많다고 하면서 인구의 약 12퍼센트가 정신질환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나는 그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우울증이 물질의 부족이 아니라 애정을 주고받기가 어려운 상황 떄문에 생겨난다는 것을 분명히 깨달을 수 있었다. 

오늘날 같은 물질사회에서는 돈과 권력만 있으면 친구가 많은듯 보일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당신의 진정한 친구가 아니다. 돈과 권력의 친구들일 뿐이다. 당신이 부와 영향력을 잃어버릴 때, 그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릴 것이다. 모든 일이 잘 풀릴 때 우리는 혼자 힘으로 살아갈 수 있고, 친구 따위는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위와 건강을 잃자마자 우리는 그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금방 깨닫게 된다. 따라서 어려울 때 자신을 도와줄 진정한 친구를 가지려면 반드시 자비심을 키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