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
조윤제 지음 / 앤페이지 / 2022년 9월
평점 :
부모가 꼭 배워야할 인문고전 속 자녀 교육의 지혜
<다산의 마지막 공부>, <다산의 마지막 습관>등을 집필한 인문고전 대표 작가 조윤제의 첫 자녀교육서
옛것을 알아야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있는 지혜를 기를 수 있다고 알려온 인문고전 전문가이신 조윤제 작가님은 다산3부작 시리즈 외에도 인문고전과 연관하여 쓰신 책이 많아서인지 조금 낯설었답니다. 인문고전하면 어려울꺼라는 편견으로 인하여 인문고전을 읽는 횟수가 손에 꼽힐 정도이다 보니 더 그런거 같아 이번기회에 자녀교육과 인문고전의 만남인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를 읽어보고 인문고전과 조금 가까워진 느낌을 받았답니다.
자녀에게 물려줘야할 여섯 가지 지혜인 본립도생(本立道生) ,자승자강(自勝者強), 학고창신(學古創新), 영정치원(寧靜致遠), 서이행지(恕而行之), 선승구전(先勝求戰)이다.
본립도생(本立道生), 근본이 바로 서면 길이 열린다. 근본은 사람의 도리를 다하고 올바른 도덕성을 굳건하게 하는 것이다.
자승자강(自勝者強), 나를 극복할 수 있을 때 가장 강해질 수 있다. 날마다 자신을 성찰하고 돌아보는 사람은 강력한 내면의 힘을 가지게 된다.
학고창신(學古創新), 배움은 창조의 근원이어야 한다. 단순히 아는 것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배움만이 진정한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영정치원(寧靜致遠), 맑고 안정된 마음이 크게, 멀리 이룬다. 이상을 이루려면 반드시 올바른 뜻과 안정된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서이행지(恕而行之), 나 자신을 사랑하고 사랑을 실천하라. 진정한 사랑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다른 사람에게로 넓혀나가는 것이다.
선승구전(先勝求戰), 먼저 이긴 다음 싸워라. 치열한 경쟁의 시대, 자신을 지키고 경쟁에서 이기는 힘을 길러야 한다. p.10 ~ p.11
이 여섯 가지가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의 주된 내용이리라. 여섯 가지의 지혜를 아이에게 익힐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그것을 알아야 하기에 책을 읽으면서 하나 하나 살펴보고자 한다.
인성이 바른 아이로 자라기를 바란다면, 어린 자식들을 속여서는 안된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듯이,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사소한 거짓말을 한다면 아이도 부모가 그러하듯 사소한 거짓말을 할것이다. 아이가 바르게 자라기를 바란다면 우선 부모인 내가 올바르게 행동해야할 것이다. 부모가 아이에게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하다. 너무나도 유명한 맹모삼천지교만 봐도 그러하다. 시장근처에 살면 보는 것이 시장이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듯이, 서당과 가까이 살게 되니 저절로 학업에 힘쓰게 되는 맹자의 이야기처럼 요즘은 아이들의 독서교육이 중요해져 집에는 이곳저곳 책을 놔두고 책이 자연스럽게 노출되어져 있다. 하지만 노출해 주었다고 해서 환경을 조성한것이 아니다. 책을 보는 부모의 모습을 보게 된다면 아이도 저절로 책과 친해지고 책과 함께 놀게 될것이다.
습관은 우리의 본성을 바꾸고 인생을 좋은 방향으로 이끈다. 한번 익히면 큰 노력과 힘을 들이지 않고도 일상을 바꿔주기 때문이다. p.67
'세살 버릇 여든간다.'는 말처럼 한번 들인 습관은 바꾸기 어렵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어릴때부터 좋은 습관이 들 수 있도록 가르친다. 습관이 인생을 좌우하기에 더 노력을 기울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런 부모의 가르침과 다르게 아이가 바르지 못한 습관을 익히고 고치려하지 않을때도 있다. 잔소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일지도 모른다. 조급해하는 아이에게는 눈앞의 것만을 생각하지 말고 전체적인 것을 생각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올바른 삶의 자세를 취하도록 해야함을 다시 한번 이야기 하고 있다. '대기만성'의 뜻을 기억하면서 지금 하는 노력이 미래의 자신을 만들어준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할것이다.
간혹 학습을 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아이의 모습을 발견할때면 조금은 욕심을 부리지 말아도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티격태격하고 했었다. 하지만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 중에서는 아이의 건전한 욕심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동력이 된다는 이야기를 다루면서 사람이 욕심이 없으면 버려진 물건과 같다과 이야기 한다. 욕심이 있다는 것은 결국 무언가 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는 뜻이기에 아이의 욕심을 너무 저지해서도 안된다.하지만 지나친 욕심으로 인생을 망치게 될 수도 있음으로 주의하여야 할것이다.
"배우고 때떄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은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은가!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 p.113
공자는 이렇듯 자신을 즐겁게 하는 것을 공부, 벗과의 교제, 겸손이라고 이야기했다. 학문을 배우고 닦으면서 즐거운 마음이 동반된다면 이또한 행복하리라는 마음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문학에 대한 탐구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인문학은 사람에 대한 공부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사실 책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소설 위주의 편독을 하고 있다보니 인문학은 어렵다는 느낌이 강해서 잘 읽지 않고 있었는데 지금부터라도 시도해보아야겠다.
고난은 누구든 부딪힐 수 있는 일이며, 예기치 않은 상태에서 다가온다는 것을 말해주어야 한다. 그것을 헤쳐나가는것도 자신의 몫이라는 생각을 심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것을 격려의 시선으로 잠잠히 지켜보면 된다. 당당히 헤쳐나갔을 때 진심으로 함께 기뻐해 주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p.167
아이에게 닥쳐올 고난은 부모 몫이 아니라 각자가 이겨내야할 몫이다. 그런 사실을 기억하고 부모가 나서서 해결해 주려고하기 보다 아이가 고난을 이겨낼 수 있도록 시간을 두고 곁에서 지켜봐주는 것도 중요함을 알아야할 것이다. 그리고 고난을 겪었을 때 다른 사람을 탓하기 보다 그렇게 되었던 이유를 생각해보고 극복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패배자인양 움츠려들기보다 나아가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는 것도,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도 모두 귀중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의 근본은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허영, 연민, 동정, 일시적인 감정을 사랑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다. 시간이 지나면 쉽게 변하는 사랑이 아니라 언제나 변하지 않는 사랑은 바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을 근본으로 한다. 또한 그것은 자신을 아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p.201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방법도 알것이고,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고 아낄 줄 모른다면 다른 사람에 대한 소중함도 알지 못하리라. 사랑은 자신을 사랑하는 것부터 시작되어지며 그로 인해 삶의 의미와 가치가 높아질것이다.
"뜻을 성실하게 갖는 다는 것은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이다. 악취를 싫어하는 것처럼 악을 싫어하고, 미색을 좋아하는 것처럼 선을 좋아하는 것, 이것을 스스로 겸손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홀로 있을때도 삼간다." p.239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것을 지킬줄 아는 사람. 누군가 자신을 보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닌, 혼자 있어도 자신을 지키고 아끼는 마음에서 옳은 것을 택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자신의 마음부터 속이지 않고 현명하게 행동하여야만 경쟁에서도 이길 수 있을것이다.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 에서는 다산 정약용과 공자, 맹자 등과 같은 인문 고전 속에서의 이야기를 통해 부모가 배우고 아이에게 본보기 보여야 할것을 알려주는 자녀교육서이다. 인문 고전이 어려울꺼라는 편견으로 꺼리게 될지 모르지만 부모가 나아갈 길, 아이에게 알려주어야 할 길을 고전을 예를 들어서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어서 이해하기 쉽고 유용한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아이는부모의등을보고자란다 #부모가꼭배워야할인문고전속자녀교육의지혜 #조윤제지음 #엔페이지 #자녀교육서 #자녀교육 #좋은부모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