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터 K의 오싹한 의학 미스터리 1 - 인간 VS 바이러스 ㅣ 닥터 K의 오싹한 의학 미스터리 1
애덤 케이 지음, 헨리 파커 그림, 박아람 옮김 / 윌북주니어 / 2022년 10월
평점 :
고대 이집트부터 찬란한 그리스 로마시대, 어두웠던 중세와 끔찍한 세계 대전을 겪은 근대, 그리고 오늘날까지 질병과 싸워온 (가끔 토나오지만 신기한) 우리 인류의 역사!
인간 VS 바이러스
먼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살아남기 위해 인류가 선택한 결정적 순간들
애덤 케이 작가님께서 의사로 일하셨다고 하니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재치있는 어투를 읽는내내 색다르게 다가왔다. 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보여주면서 흥미를 불러 일으킨 후에, 《닥터 K의 오싹한 의학 미스터리 1》에서는 뇌, 혈액순환, 감염, 소화관, 피부, 폐에 관한 이야기를 만났다. 사실 글의 내용이나 그림체가 너무 색다르다고 해야할까. 만화를 보는 듯한 착각이 들기도 했고, 참이냐 거짓이냐를 '참일까, 똥일까?"로 표현해두셔서 조금은 당혹스럽기도 했다.
내용들은 고대 이집트를 시작으로, 그리스 로마시대, 중세, 근대, 오늘날까지의 변화되는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다. 시대순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 인하여 그 시대의 인식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날의 의학은 지금의 의학과는 너무나도 천지차이의 지식임을 느낄 수 있었다.
과거에 의사들은 환자의 이를 뽑아서 정신 질환을 치료하려고 했다는 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보고 너무나도 오싹하고 무서웠다. 정신 질환이 뇌에 이상이 있을꺼라는 생각은 하지 못한채 염증으로 인해 정신 질환이 생긴걸꺼라는 추측으로 이를 뽑거나 위, 장 들을 절제하였다고 하니 그 시대에 태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이 너무나도 행복하게 느껴졌다. 거기다 너무나도 엽기적이기까지한 '정신나간 치료법'들은 경악 그 자체였다.
우리 몸에 혈액이 충분하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윌리엄하비가 살던 시대부터 의사들은 혈액이 부족하면 혈액의 양을 을리기 위해 온갖 액체를 사용했다고 한다. 맥주, 포도주, 우유, 강아지의 혈액까지!!! 경악할 노릇이다. 어떻게 혈액 보충을 맥주, 포도주도 놀랄 노릇인데 강아지의 혈액까지 몸속에 넣었다고 하니, 거기다 피를 뽑아서 치료를 하려고 하는 일이 대다수였다고 하니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사실이 더 놀랄일이 아닐까.
거기다 1929년 베르너 포르스만이라는 독일의사는 팔의 혈관을 이용해 심장에 관을 꽂는 방법을 알아내고 자신의 심장을 수술해서 노벨상까지 받았다고 하니. 죽지 않고 살았다는 사실이 더 대단할 뿐이었다. 무언가를 알아내고자 하는 의지가 컸던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너무나도 어이없는 진실이었다.
녹슨 못에 찔리거나 동물에 물렸을때 감염되는 파상풍. 그런 감염을 막기 위해서 오늘날에는 소독을 하거나 항생제를 맞지만 옛날에는 그런 것들이 없었다고 해요. 거기다 병원이 더 더러웠다는 이야기도 적혀 있네요. 그 옛날 그리스의 의사들은 환자의 소화기관이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알기 위해서 토사물까지 먹었다고 나와 있어 놀라웠다. 대단한 직업정신이 아니라면 하지 못할 일을 했으니 그 시대에 태어나지 않음에 다시 한번 감사하면서 책을 읽게 되었다.
중국황제인 진시황은 피부에 난 여드름에 수은이 효과가 있다는 말에 치료를 받다가 수은 중독으로 세상을 잃었다고 해요. 책을 읽으면서 놀라웠던 것은 알렉산더 대왕이 숨을 쉬지 못하고 쓰러진 군인의 목에 구멍을 내서 폐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준 시술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었답니다. 의학 드라마를 보면 종종 나오던 기관절개가 알렉산더 대왕이 시도한 것이라니 정복하는 것에만 재능이있던 것이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재능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지 놀라웠답니다.
의사의 눈으로 바라본 역사 속 위대한 발견들 그리고 치명적인 실수들에 대한 이야기 《닥터 K의 오싹한 의학 미스터리 1》권이었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