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비벌리 엔젤 지음, 정영은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2월
평점 :
정서적 학대, 그 보이지 않는 감옥에서 탈출하는 방법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요즘은 감정에 관한 책들이 많이 출간되어지고 있는 것 같다.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것에 관한 책이나, 자신을 찾아가는 것에 관한 책이거나, 그리고 정서와 관련된 책들이 자주 보이는 듯하다. 그런 출간 트렌드에 맞추어 소미미디어에서도 이번에 출간된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를 읽으면서 육체적인 학대만이 학대가 아님을 다시금 깨닫는다.
심리치료사이자 작가이신 비벌리 엔젤 작가님의 책은 직접 상담을 했던, 상담을 하고 있는 내담자들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어서 쓴 책이라고 하니 나도 모르게 겪었던 정서적 학대를 책으로 하여금 깨닫게 되는 순간인 동시에 내가 아이에게 하는 잔소리들조차 정서적 학대로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정서적 학대의 가해자는 당신 삶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려 한다는 문구를 보면서, 아이에게 했던 애정이 담겼던 잔소리들이 아이에게 사랑으로 다가왔을지 정서적인 학대로 받아들였을지 의문스러웠다.
삶을 통제하려고 하는 것 자체가 학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정서적 학대 피해자들은 아무런 잘못이 없음에도 처벌을 받았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내가 어떠한 잘못을 하여 통제 받게 되는 것이 아닌 아무런 잘못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옥에 갇혀 벌을 받는 상황일 때 내가 정서적으로 학대 받고 있음을 깨달아야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서적 학대를 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정서적 학대를 받았을 경우의 혼란스러움에 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함께 일하는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학대를 받았느냐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함께 일하고 있는 관계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나와 연관된 관계 속에서 생각해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틀에 맞추어 행동하여야 한다면, 그리고 내가 갇혀있는 상황에서 수치심을 느낀다면 그것은 정서적 학대임을 알려준다. 그리고 작년에 우리에게 관심을 끌어던 '가스라이팅' 또한 정서적 학대인 것이다. 미처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단어라 생소했던 '가스라이팅', 그것으로 상대방을 움직이도록 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믿음이 있어서였다. 우리는 그것이 '가스라이팅'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채로 당하게 되고 정서적학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어릴적 내 잘못이 없음에도 분노를 다 받아내야 했고, 그 분노로 인해서 화상을 입어야 했던 것들. 육체적인 학대인 동시에 정서적 학대를 받았음에도 학대라는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흘러온 시간들을 보냈다. 단순히 화가 많으시고 목소리가 크신 아빠의 행동을 이해하고 커왔다고 생각했지만 그것도 어쩌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가스라이팅'을 당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책에서는 수치심과 정서적 학대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치심의 감옥에서 탈출하기, 관계에서 벗어나야 할지 유지해야할지, 마지막으로 관계를 떠난 후에 해야할 것들로 크게 단계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자기 스스로 비판하는 감정으로 스스로를 학대하기보다, 현재 자신의 상태를 고려한 기대치를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 마음이 스스로 갖는 수치심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좋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서 너무 애쓰다 보면 결국 또 다시 수치심을 느끼기 쉽다고 하니 무조건 좋은 모습을 보이려는 집착을 버리는 것도 필요하다.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는 것은 결국, 내가 느끼는 수치심의 감정을 치유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기억해야할 것이다.
가볍지 않은 주제에 대해서 너무 무겁지도, 너무 가볍지도 않게 비벌리 엔젤 작가님의 상담 속 정서적 학대 이야기들을 보여주며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