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포스팅들에서도 그렇고 저자는 계속해서 ‘미래의 나‘에게 투자하는 것을 강조한다.
.
.
.
이어 읽다가 어느 고등학생 사업가가 신발 유통 사업을 하는 사례 하나가 나온다. 본문에 따르면 약 1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하는데, 재정적인 투자 이후에 그 사업에 전념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이 전환되고 그 전환된 정체성에 걸맞는 행동 및 리더십 등을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성공의 궤도에 올라탔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저자는 본문에서 재정적 ‘투자‘에 포인트를 두었었는데, 개인적으로 처음에는 ‘전념‘이라는 것에 더 포인트를 맞춰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으나,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순서상으로 재정적 ‘투자‘ 라는 것이 선행되는 게 맞겠다는 나름의 결론에 이르렀다.

이유인즉,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돈을 쓰는 걸 곰곰이 생각해보면 자신이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기꺼이 돈을 지불한다는 속성이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데 필수적인 것들은 물론이고 어떤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도 이 속성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위에 소개한 사례에서도 신발 유통 사업이 향후에 현금흐름을 투자한 금액 이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에 비록 어린 나이였지만 고등학생이 과감하게 1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재정적인 투자가 선행되고 나면 그 투자금액 이상의 돈을 벌어들이기 위해서는 본능적으로 ‘전념‘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바보가 아닌 이상 큰 돈을 투자해놓고 ‘세월아 네월아‘하면서 놀고만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밑줄 친 문장 중에서도 이런 문장이 나온다.

‘돌이킬 수 없었죠... 나는 앞으로 나아가야 했습니다.‘ (p.153)

재정적 ‘투자‘를 통해 특정한 상황에 들어간 이상 내 안의 생존 본능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자연스럽게 ‘전념‘을 하도록 만들고 그것이 사업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게 되는 듯하다.

지금 1달러는 미래의 나에게 20달러, 50달러, 그 이상의 가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미래의 나는 그 돈을 투자해 500달러, 1000달러, 그 이상을 벌어들일 수 있다. - P149

지금 나의 손에 있는 씨앗이 미래의 나에게는 거대한 떡갈나무가 될 수 있다. 지금 머릿속에 떠오른 아이디어 하나가 미래에 세상을 바꾸는 회사나 움직임이 될 수 있다. - P149

오늘 씨앗을 심으면 미래의 나는 나무 한 그루 이상의 것을 얻는다. 나무를 한 그루 심으면 현재의 내가 결코 예상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혜택과 부산물을 얻는다. 아마 나무를 처음 한 그루 심고 나면 나무들이 지구를 살린다는 점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러면 나무를 수천 그루 심게 되고 나무들이 자라서 과수원이 되고 숲이 된다. 과수원이 확장하면, 미래의 나는 토지와 농업에 대해 배우고 농장은 해마다 수백만 명의 식량을 생산한다. 이 모든 게 처음에 씨앗 하나를 심었기 때문이다. - P149

메타분석에 따르면, 자신감은 앞선 성공을 통해 얻는 부산물이다. 작은 성공을 여러 번 경험하면 자신감이 상승한다. 그러면 자신이 미래에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더 폭넓게 상상할 수 있다. - P150

자신감이 커지면서 동기도 커진다.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시야가 점점 확장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가슴 뛰는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동기에 불이 붙는다. - P150

행동을 취할때는 큰 목표를 최대한 작은 단위로 나눠야 한다. - P150

성공하려면 결국에는 크게 투자해야 한다. 하지만 그 지점까지 가려면 먼저 작은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 P150

무엇이 됐든, 미래의 나를 위한 작은 투자를 시작하라. ...(중략)... 복리효과를 내고 싶은 모든 영역에서 일단 투자를 시작하라. - P151

책을 출판하려면 먼저 독자를 늘려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 그래서 블로그를 시작했다. - P151

작은 투자가 더 큰 투자로 이어진다. - P151

투자를 하면 할수록 그러한 투자가 더 높은 복리를 가져다준다. - P151

투자하면 전념하게 되고 전념하면 결과를 얻는다. - P151

투자야말로 비전과 목표를 적극적으로 더 크게 세우는 방법이다. 자신에게 투자할 때 더 큰 비전에 더욱 전념할 수 있다. 그러면 자신의 정체성도 동시에 변한다. 가장 전념하는 곳에 자신의 정체성이 있기 때문이다. - P152

나는 연구 결과, 성공한 사업가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지점이 있었음을 증명했다. 초보 사업가조차도 미래 어느 시점에 자신이 그 지점을 지날 거라고 믿고 있었다. 하지만 월급 받는 신분에 안주하고 있으면, 그 지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 P153

돌이킬 수 없는 지점은 사업가가 되겠다는 목표에 100퍼센트 전념하는 순간 나타났다. 그것은 정체성의 전환이었다. 그 결정적인 순간은 대개 사업에 재정적 ‘투자‘를 할 때 시작됐다. - P153

그는 이제 돌이킬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러자 그의 정체성이 즉시 바뀌었다. 그는 사업가로 성공하겠다는 목표에 집중했고, - P153

성공이냐 실패냐 둘 중 하나였죠. 죽을 각오로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몹시 두려웠습니다. ...(중략)... 돌이킬 수 없었죠. ...(중략)... 나는 앞으로 나아가야 했습니다. - P153

그 이후 나는 우리가 정말로 물건을 팔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때부터 나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순간 나는 실제로 사업을 시작했다고 느꼈죠. 나는 사업에 투자했고 이제는 그 사업을 운영해야 했습니다. 그때 내가 실제로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 같아요. 동료들을 대하는 나의 리더십이 완전히 달라졌죠. - P154

그는 투자함으로써 전념하게 됐다. 그다음 정체성이 바뀌었다. 그 순간부터 그는 훨씬 더 적극적이고 대담한 행동으로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리고 성공했다. - P154

투자하기 전에는 사업적 성공에 100퍼센트 전념하지 못했다. 물론 신발 유통 사업이라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고, 그 사업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두기는 했지만, 돈을 투자하기 전에는 당시 하고있던 다른 일들에 전념했다. 하지만 일단 투자한 다음부터 그는 하나의 목표에 온전히 전념했다. 새로운 일에 전념하면서 그의 정체성은 그 일에 맞게 달라졌다.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에 맞게 행동도 달라졌다. - P154

큰 비전을 세울 때 정체성과 행동이 변한다.
투자를 많이 할수록 더욱 전념하게 된다.
투자를 많이 할수록 더욱 비전이 커진다.
시간과 돈, 재능을 투자하라.
현재 잠재력의 한계를 무너뜨리는 방법이 투자다. - P154

투자를 통해 당신은 자신이 어떤 존재가 될 수 있으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된다. 투자라는 이 심오한 행위는 잠재의식에 당신이 현재보다 훨씬 탁월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 P155

"무의식은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믿는 것만 갖게 한다." - P155

미래의 나에 대한 세 번째 진실은 미래의 나는 피리 부는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지금 자신에게 투자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미래의 나는 빚더미에 올라앉는다.
피리 부는 사람은 어떤 식으로든 대가를 치르게 만든다. - P155

지금 투자를 시작하라. 그다음 투자를 점점 더 크게 늘려라.
미래의 내가 고맙게 생각할 것이다. - P155

미래의 나를 생생하고 자세하게 그릴수록 더 빠르게 발전한다 - P156

"당신은 당신이 측정하고 있는 것을 본다."
_세스 고딘 - P156

"우리는 성공을 정의하는 자신만의 방식에 빠져 있다."
_아리아나 허핑턴Arianna Huffington - P156

과정을 명확하게 측정하고 단계마다 이뤄야 할 목표가 있었기에 - P158

미래의 나로 가는 과정을 자세하게 측정할수록 목표를 향해 더 빠르게 발전한다 ...(중략)... 측정가능한 지표와 미래의 나에 대한 생생한 비전, 명확한 단기목표들이 결합될 때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런 요소들이 없으면 방황하게 된다. - P158

어디가 직선인지 명확하게 모르면, 자신이 직선으로 걷고 있다고 생각해도 원을 그리며 방황하게 된다 ...(중략)... 인생도 그렇다. 명확한 목표와 목표를 이루는 과정을 측정할 방법이 없다면, 원을 그리며 방황하게 될 것이다. - P159

"프로처럼 기술을 배워라. 그래야 예술가처럼 그것을 깨부술 수 있다." - P161

"솔직하게 말하면 매일 연습하는 게 큰 도움이 됐어요." - P161

연습과 정확함, 지능적 계획을 관람하는 축제 - P162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목표를 이루는 과정을 계획했다. 그리고 ...(중략)... 그 과정에 전념했다. - P163

미래의 나를 자세하고 생생하게 그리는 능력이 그 모습을 이룰 능력을 결정한다 - P163

미래의 나를 자세하게 그릴수록 미래의 나는 더 훌륭해진다. 목표와 목표를 이루는 과정을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게 만들어라. 그러면 그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해 더 빨리 발전할 것이다. - P163

미래의 나의 실패가 현재의 나의 성공보다 낫다 - P164

"적에게 연타를 당하고 삶의 기둥이 날아가더라도 수년간 창의적인 훈련을 하면서 기꺼이 실패에 투자하면 그때부터 게임의 속도는 느려지기 시작한다. 느리게 다가오는 공격을 보는 당신은 눈 깜박할 사이에 반격하게 될 것이다."
_조시 웨이츠킨Josh Waitzkin - P164

‘실패에 투자하라‘는 원칙은 ‘자기 자신을 배움의 과정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어려운 상황에 자신을 몰아넣으면 거기서 살아남기 위해 적응할 수밖에 없다. 그런 상황에서는 자신의 약점을 마주하며 수도 없이 실패한다. ...(중략)... 때로는 문자 그대로 ‘내팽개쳐지기도‘ 한다. - P166

‘실패에 투자하는 것‘은 극도의 의도적인 연습이었다. ...(중략)... 의도적인 연습이 습관이나 ‘자동성‘에 반하는 개념 ...(중략)... 인간은 의식적인 노력 없이 일을 수행하는 능력인 자동성을 개발하려는 성향이 있다. 그런데 의도적인 습관은 그런 성향과 상반된다 - P166

신발 끈을 묶는다거나 운전을 하는 것과 같은 작업에서 자동성이 나타나는 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이다. 정신이 자유로워져 다른 일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술이나 배움 등에서 자동성이 나타나면, 그동안 익힌 것들이 그 수준에 머물러 있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퇴보한다. - P166

수행 능력이 자동화 수준에 도달해 노력 없이 실행하게 되면, 경험이 추가로 쌓여도 행동의 정확성이 향상되지 않고, 사고 메커니즘도 개선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동화된 행동은 얼마나 많은 양의 경험이 축적되든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 않는다. - P167

장차 전문가가 될 사람들은 의도적인 연습을 하며 경험을 더 많이 쌓음으로 수행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들에게는 자동성이 생겨 능력 향상이 저지되는 상황이 큰 도전이다. 그들은 그런 상황을 피하려고 노력하며, 자동성에 열심히 대항한다.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 능력 기준을 높임으로써 그렇게 한다. 여기에는 속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행동을 통제하는 게 요구된다. - P167

전문가는 현재의 수행 능력 수준에 안도하지 않고, 그 수준을 뛰어넘는 목표를 달성하려고, 훈련 상황을 의도적으로 만들고 찾는다. - P167

의도적인 연습은 ‘습관‘이나 ‘자동성‘과 반대되는 말이다. 습관은 자동 조절 장치로 작동한다. 반대로 의도적인 연습에는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를 향한 의식적인 노력과 주의가 요구된다. - P168

습관대로 살아가면 현재의 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의도적인 연습을 하면 자신이 바라는 미래의 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데 집중하게 된다. 습관이나 안전지대로 되돌아가는 것은 발전하는 방법이 아니다. - P168

다른 수련생들은 조시가 한 만큼 실패에 투자하려 하지 않았다. 그들은 미래의 내가 실패할 때보다 현재의 내가 성공할 때 편안함을 느꼈다. 그럴 만하다. 의도적인 연습을 제대로 하면 몹시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 P169

의도적인 연습에 완전히 몰두하면, 자신이 바라는 미래의 나를 점점 명확하게 그리기 시작한다. - P169

향상된 기술을 지닌 미래의 나를 상상할 때만 우리는 의도적인 연습을 통해 기술을 연마할 동기를 얻고, 그것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 - P1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