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첫 경제사 수업 - ‘보이지 않는 손’에서 ‘후생경제학’까지 13가지 대표 이론으로 배우는
조너선 콘린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6월
평점 :


요즘 물가가 계속 치솟고 있고, 경제가 휘청거리는 상태이다. 그래서인지 평소에는 관심도 거의 없었던 경제에 눈길이 갔다. 고등학교 때 처음 접한 경제 과목이 나에게는 어찌나 힘들었던지, 다시는 경제를 접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마저도 들었는데, 공무원 공부를 할 때 사회 과목에 들어었있던 경제를 또 맞딱드리게 되면서 접할 수 밖에 없는 것인가 싶었다. 그치만 그 뒤로는 접한 적이 없다.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냥 몰라도 되는 학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30대 후반이 되고 곧 40대 초반이 되는데 돈 공부도 공부이고, 한편으로 경제에 대해서도 좀 알아야 되지 않을까 싶던 찰나에 이 책이 눈에 띄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경제사는 일단 처음 접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여태 배웠던 것들은 어찌보면 이론적인 부분들을 접했다고나 할까? 그것도 약간 수박겉핥기 식으로 말이다. 이 책은 총 레슨1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경제사를 대표할 만한 경제사상가들 13명으로 구성했다.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 카를 마르크스, 앨프리드 마셜, 조지프 슘페터, 존 메이너드 케인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 존 포브스 내쉬 2세, 대니얼 카너먼, 아마르티야 센, 조지프 스티글리츠이다. 그리고 부록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는 경제 개념을 소개하고 있다. 처음 들어보는 경제사상가들이 더 많았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으면서 그들에 대해 공부하면서도 경제사를 접하는 어찌보면 역사가 인간의 삶과 맞닿아 있는 것이기에 둘을 한 번에 접할 수 있었다.
그 당시에는 획기적이면서도 그 이론들이 옳다고 생각되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변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항상 그것이 옳게 적용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그들의 이론이 아직도 언급되고 있고, 아직도 공부를 하고 있는 점으로 봤을 때, 그만큼 그들의 이론이 가치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애덤 스미스를 예로 든다면,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하다. 그 말은 시장경제에 자유를 부과함에 있어 제한보다는 자유를 좀 더 우위에 둔다는 것인데, 한편으로 보면 옳게 보이지만, 그때 그때 경제 상황에 따라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도 감안해서 이론을 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경제사를 처음 접하지만 어렵지만은 않았다. 경제사상가의 삶 뿐 아니라 그 삶에 녹아있는 그의 이론들을 같이 접하기 때문일 것이다. 처음 들어보는 경제사상가들이 더 많았기에 더 공부하는 느낌도 들면서, 좀 더 유익하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다. 부록에 실린 개념을 통해 어려운 경제관련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저 경제사가 경제이론공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실과 연결해서 봤을 때를 생각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더 실용적이지 않나 싶다. 돈의 흐름, 시장과 노동에 관해 알고 싶거나, 나처럼 경제에 관해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궁금하기는 하고 관심을 가져보고 싶어서 접해보고 싶다고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은 카페이벤트에 당첨되어 받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