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순신과 그가 감당한 전쟁을 소재로 한 칼의 노래로 우리국민들의 심금을 울렸던 작가 김훈이 다시금 우리들의 아픈 상처를 소재로 한 전쟁에 관한 이야기를 ›㎢? 이번에는 임진년의 전쟁이 아니라 병자년에 있었던 청나라 오랑캐들과의 싸움에 대한 이야기이다. 임진년에 그랬듯이 우리나라는 명문에 휘말려 실질적은 힘을 보유하지 못하면서도 상대방을 깔보다가 큰 화를 당하게 되었다. 이제 남은 곳은 남한산성. 그곳으로 옮겨간 임금과 신하들 간의 이야기이다. 주전론과 주화론간의 끊임없는 논란. 양측은 다 나름대로의 뚜렷한 논리가 있다. 어느 누구를 나쁘다고 탓할 수가 없다. 명분을 위해서 목숨을 아끼지 않을 수 있다는 사람들과, 우선의 모욕을 감당하더라도 사후에 치욕을 갑자는 사람들 무두 개인의 사욕을 위한 것은 아니다. 시대를 보는 눈과 장래를 도모하는 방법이 달랐을 뿐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더욱 팽팽한 긴장감으로 가득한 책인 것이다. 이 책을 끝으로 이제는 역사소설이 아니라 현대사에 관한 이야기를 쓰시겠다는 김훈 선생님. 이 책의 내용이 그를 삶의 굽이에서 닥치는 생생한 현실에 대해서 어떻게든 발언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내가 그 시기, 그 장소에 있었다면 나는 과연 어느 편의 입장을 찬성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35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