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꾸로 읽는 한국사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조경철.조부용 지음 / 클랩북스 / 2025년 5월
평점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나라를 잃은 백성은 무엇을 했을까?
"거꾸로 읽는 한국사"는 무엇을 거꾸로 읽는 한국사 일까요?
건국과 멸망이 순서대로 읽는 한국사라면 '멸망과 건국'은
거꾸로 읽는 한국사입니다.
여기서 두 단어의 순서만 바꿔 멸망을 서두에 두면, 앞선
나라와 이어지는 나라 사이의 '연결고리'가 생겨요.
고조선의 멸망과 고구려의 건국, 고구려의 멸망과 발해의
건국으로요. 그러니까 '멸망과 건국'은 앞선 나라의 멸망과
함께 뒤이은 나라의 건국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해요.
이렇게 두 단어의 순서만 뒤집었을 뿐인데 역사의 흐름이
느껴지는 연결된 이야기를 듣는 것 같죠.
우리나라 역사에는 여러 멸망의 모습이 있습니다.
그러나 왕이 죽음으로써 나라가 망한 경우는 우거왕의 고조선이
유일합니다. 그는 죽기 직전까지 어떻게든 나라를 지키려고
애썼습니다. 그렇기에 우거왕이 죽은 이후에도 고조선은 바로
항복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충신이었던 성기는 우거왕의 뜻을
이어 받아 끝까지 나라를 지키려고 노력했습니다.
고조선 멸망 후 곧이어 고구려가 건국되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된다면, 우리는 고조선의 멸망은 단절이 아닌 '계승'의
시작으로 다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역사가 망하지 않으면,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한국통사, 박은식>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죽음은 멸망에 처한 다른
나라의 왕들이 보인 모습가 사뭇 달랐습니다.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은 당나라에 항복한 뒤 끌려가 그해 세상을
떠났습니다. 신라의 마지막 왕 경순왕은 고려 왕건에 항복하고
그의 딸과 혼인하며 여생을 마쳤습니다.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나라를 넘겨주었습니다. 조선의 순종은
일본에 나라를 넘겼습니다. 이들에 비하면 보장왕은 망해 가는
나라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하다가 죽음을
맞이한 왕이었던 것입니다.
보덕국에서 넘어온 사람들과 그 지역에 이미 머물던 고구려
유민이 힘을 합쳐 684년에 발해를 세웠고, 나중에 대조영
세력에 합류하여 698년에 정식으로 나라를 세웠던 것입니다.
대한민국 건국 연도는 언제일까요? 국제법상으로는 이승만이
건국했던 1948년입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김구 계열의
독립운동가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세운 연도인 1919년을
건국 연도로 보기도 합니다. 1948년과 1919년은 둘 다 의미
있는 대한민국 건국 연도입니다.
한국사에서 '고려'라는 나라 이름의 역사는 아주 깁니다.
고구려, 발해, 궁예, 왕건이 모두 '고려'라는 이름을 사용했죠.
이 역사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
'KOREA'는 '고려'와 발음이 흡사합니다.
명나라 멸망한 후에도 중화정신을 우리가 이어받았다고
생각하며 작은 중국을 자처한 나라가 조선이었습니다.
그렇게 갈 길을 잃었던 조선이 사대의 역사는 끝났다고 선포하며
대한제국이 된 것입니다. 고조선 멸망 이후 드디어 2000년 만에
맞이하는 제국의 시작을 대한제국으로 알렸습니다.
연표에는 일제강점기가 1945년에 끝나서 1948년에 대한민국이
시작된다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1945년과 1948년 사이의
3년의 기간은 어디로 간 걸까요? 연표에 표기하지 않은 3년은
미군이 한국을 통치했던 미군정기였습니다.
의자왕과 삼천궁녀 이야기에는 조선을 식민화한 일제가 벽제의
멸망 원인을 의자왕의 향략이라고 강조하고 싶어 했던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비슷하게 일제는 포석정을 고적 제1호로 지정
하기도 했는데, 이 역시 신라의 경애왕이 포석정에서 술을
마시다가 죽임을 당했던 일을 부각하기 위했던 것입니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clabbooks
@chae_seongmo
#거꾸로읽는한국사 #조경철
#조부용 #클랩북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한국사 #멸망 #건국 #역사
#연결 #계승 #연표 #고려
#고조선 #가야 #발행 #고구려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