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
손턴 와일더 지음, 정해영 옮김, 신형철 해제 / 클레이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남은 자들의 슬픔을 위로하는 불멸의 고전


1714년 7월20일 금요일 정오, 페루에서 가장 멋진 다리가

무너지며 다섯 명의 여행자가 그 아래의 골짜기로 추락했다.

이 다리는 리마와 쿠스코를 잇는 큰길에 놓여 있었고, 매일

수백 명의 사람들이 건넜다. 사람들은 리마에 방문한 지인을

이끌고 와서, 백 년도 더 전에 잉카인들이 고리버들을 엮어 만든

이 다리를 구경시키곤 했다. 사실 다리라고 해 봐야 사다리처럼

엮은 얇은 판자 위에 마른 포도덩굴 난간을 달아 놓은 것에

불과했다. 걸을 때마다 다리는 협곡 위에서 출렁거렸다.


대성당에서 성대한 장례 미사가 열렸다. 희생자들의 시신이

그런대로 수습되었고, 아름다운 도시 리마에서는 대대적인

반성과 성찰이 있었다.


우리는 우연히 살고 우연히 죽는 것일까,

아니면 계획에 의해 살고 계획에 의해 죽는 것일까.

주니퍼 수사는 그 순간 대기를 가르고 떨어진 그 다섯 명의

숨겨진 삶을 조사하겠다고, 그래서 그들이 그렇게 떠난 이유를

밝혀내겠다고 마음먹었다.


어떤 이들은 우리는 절대 모를 거라고, 신에게 우리는 여름날

사내아이들이 죽이는 파리 같은 존재일 뿐이라고 말하는 반면,

어떤 이들은 하느님이 손가락으로 쓸어내지 않는 한, 참새의

깃털 하나도 그냥 빠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


그녀는 자신도 죄인임을 알고 있었다. 딸에 대한 자신의 온갖

색깔의 사랑을 포함할 만큼 광대했지만, 그 안에 폭압적인

그림자도 없진 않았으며, 결국 자신이 딸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 딸을 사랑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이 비열한 굴레에서 벗어나길 갈망했지만, 딸에 대한

열정이 너무나 강렬해서 감당할 수 없었다.


그녀는 지난번 편지를 떠올리며 수치심을 느겼다. 딸에게 자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애처롭게 물었던 것, 그리고 최근 딸이 마지못해

몇 마디 쓴 애정 표현을 탐욕스럽게 인용했던 것을 떠올리니 얼굴이

화끈거렸다.


--


쌍둥이의 비밀 언어는 둘 사이의 깊은 일체감의 상징이었다.

이 형제가 거의 수치스럽게 느끼는 암묵적인 일체감 역시 사랑이라는

말로는 온전히 표현할 수 없었다.


이제 그는 사랑에 관한 돌이킬 수 없는 비밀을 발견했다.

가장 완벽한 사랑에서조차 한쪽이 다른 한쪽을 덜 사랑한다는

것이었다. 똑같이 착하고 똑같이 재능 있고 똑같이 아름다운

두 사람은 있을 수 있지만, 서로를 똑같이 사랑하는 두 사람은

세상에 없다.


--


우리는 놀라운 수준의 훌륭한 것들이 존재하는 세계에서 와서,

우리가 다시 경험하지 못할 아름다움을 희미하게 기억한 채

살다가, 다시 그 세계로 돌아간다.


그는 하늘에서 내려준 이상한 선물 같은 기회를 우연히 만난다.

그의 세 가지 삶의 지향점, 즉 다른 사람들의 삶을 지켜보는 것에

대한 열정, 미인에 대한 숭배, 그리고 스페인 문학의 보물들에 대한

동경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기회였다. 바로 카밀라 페리촐레를

발견한 것이다.


---


그는 그 사고에서 악한 사람에게 파멸이 닥친것과 선한 사람이

일찍 천국의 부름을 받은 것으 모두 보았다고 생각했다.

세상을 향한 객관적인 교훈으로, 오만함과 부유함이 저주받는 것을

보았다고 생각했다. 리마의 교화를 위해, 겸손함이 최고로 인정받고

보상받는 것을 보았다고 생각했다.


@1morepage_books


#산루이스레이의다리

#손턴와일더 #클레이하우스

#죽음 #슬픔 #사랑 #탐욕 #파멸

#오만 #부유함 #선물 #우연 #겸손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