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죽는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합니다 - 행복한 나의 미래를 돌보는 엔딩 맵
서윤미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5년 4월
평점 :
행복한 나의 미래를 돌보는 엔딩 맵
고독사 시대, 나는 죽음에 준비가 되어 있는가?
원하든, 원치 않든, 숨을 거두는 순간만큼은 철저히 혼자다.
당신이 생을 마무리하는 그 순간,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이
당신 옆을 항상 지켜줄 거라는 믿음은 오만에 가깝다.
고독사의 용어 자체가 혼자 죽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사회
인식을 대변하고 있다. 내 인생의 전부가 고독사 한마디로
정리되다니, 자신의 인생이 고독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싶어도 죽은 뒤에는 소용없는 반론이다.
1인 가구의 고독사, 그중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비중이
젊은 층에서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에 대한 탐색이
가장 활발한 시기의 자살은 아마도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우리는 1인 가구의 삶과 죽음에 주목해야 한다.
내가 홀로 남겨질 수도 있고, 나의 부재로 내 가족이
홀로 남겨질수도 있다. 누구도, 인생의 마지막에 혼자
남겨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는
여정은 항상 혼자이다.
1인 가구의 장점은 개인적 자유와 독립성 측면에서
독보적이다. 선택의 측면에서 개인이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며, 다른 사람들과 일정을 맞추거나 타인의 요구에
맞출 필요 없이,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일상을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혼자 산다는 것은, 어쩌면 내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방법을 통제해야 한다는 뜻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회사에서 사회적 가면을 쓰고, 또 다른 페르소나로
활동하느라 지친 나의 감정을 따뜻하게 위로 받고 공감받고
싶어진다. 그러나 혼자 사는 이들은 이런 진심 어린 대화나
공감 가득한 무언의 스킨십을 포기한다.
죽음을 단순한 '소멸'로 바라보지 않고, 삶을 완성하는 중요한
단계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삶과 죽음 모두를 더 성숙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중 6명은 호스피스가
뭔지 몰랐다. 코앞에 닥쳐서 알게 되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많으니, 거부감도 클 수밖에 없다. 호스피스는 잘 죽기 위해
가는 곳이 아니라, 잘 살기 위해 가는 곳임을 명심하자.
내가 떠난 후 그들이 나를 기억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하는 것은 그들을 위한 마지막 배려이다.
이 배려는 단지 내가 떠난 후에도 그들의 마음속에 남고
싶어서가 아니다. 그들이 슬픔에 잠기지 않고, 나와의 추억
속에서 다시 생을 열정적으로 살아내길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죽는 것은 두렵지 않다. 가장 두려운 것은 제대로 살지 못하는
것이다. <빅토르 위고>
'엔딩 맵'은 나의 마지막 여정을 계획하는 일종의 설계도이다.
엔딩 맵을 작성하다 보면, 이 작업이 결코 내 생의 마지막만을
설계하는 지도가 아니란 것을 깨달을 것이다. 이 작업은 남아있는
내 삶의 태도와 방식을 결정한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secrethouse_book
@chae_seongmo
#혼자죽는준비를단단히해야합니다
#서윤미 #시크릿하우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고독사 #죽음 #엔딩맵 #외로움
#고립감 #자유 #독립성 #통제권
#호스피스 #배려 #설계도 #태도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