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의 철학 - 흔들리는 삶을 위한 16가지 인생의 자세
샤를 페팽 지음, 이주영 옮김 / 다산초당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들리는 삶을 위한 16가지 인생의 자세


살면서 겪게 되는 시련을 어떠한 태도로 받아들이냐에

따라 인생의 모습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시련이 만들어내는

효과도 다양하다. 시련은 포기하지 않는 의지를 만들기도

하고, 마음 편히 포기하게 도와주기도 한다. 하나의 길을

끝까지 갈 힘을 주거나 변화를 통해 도약하게 만들기도 한다.


실패의 경험은 우리의 삶, 우리가 느끼는 두려움, 앞으로

마주할 성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만일 우리가 본질 안에 갇혀 있지 않다면 그것은 실패

덕분이다. 시련을 통해서 새로운 발견을 하고 미래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장 폴 사르트르>


성공은 기분 좋은 일이지만 실패보다 가르침을 제대로 주지

못할 때가 많다. 실패를 경험해야 만만치 않은 현실의 벽

앞에서 무엇을 할지 스스로 질문하고, 문제를 모든 각도에서

살펴보기 때문이다. 한 단계 도약할 발판을 찾는 셈이다.


놀라움과 깨달음을 주는 것, 이론으로 한정 지을 수 없는 것이

실패다. 실패 그 자체가 삶을 정의하는 것이 아닐까?


"실수는 인간적이지만 이를 반복하는 것은 악하다."

실수를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해 무언가를 배우지

못하고 같은 결과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별하는 지혜도

넘어져 봐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긴 지혜는

자연스럽게 성공으로 이어진다.


지혜의 반대말은 현실 거부다. 무언가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이번에는 내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놓친다.


스토아학파의 지혜에 귀 기울이면 "현실이 불공평"하다며

투덜거리는 태도를 버릴 수 있다. 아우렐리우스는 장애물을

맞닥뜨리며 수없이 낙함했지만 그럼에도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운명은 공정하지도, 부당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목표 지향적인 의지는 오히려 장애물이다.


인간 정신이 가진 상상의 힘을 믿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에서

중심 개념은 '계획'이다. 존재 한다는 것은 영원히 고정된

진리가 아니다. 미래를 향해 계속 변하는 것이다. 그래서 장벽에

부딪혀도 계획을 바꿔가면서 이정표를 세울 수 있다.


자신을 냉정하게 돌아보려면 좌절을 제대로 맞봐야 한다.

그래야 겸손을 배우고 자신을 날카로운 관점에서 평가해 재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다.


겸손은 가장 확실한 지혜의 증거다.

<찰스 캘럽 콜턴>


세상의 진리에 비해 자신이 가진 지식은 지극히 적기에,

겸허히 배우겠다는 자세로 가장 낮은 곳에 두는 태도다.


독일의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진정한 정치란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했다. 새 시대를 열지 못하는 정치는 단순한

행정 업무에 불과하다.


루소는 인간의 특징으로 '완벽해질 가능성'을 꼽는다.

인간은 본능의 지배에서 자유롭기에 실수를 고쳐가면서

끝없이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결단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의 영역"

이라고 주장했다. 결단은 분석적인 이성보다 직관에 

속한다는 의미다. 그렇다고 비합리적이는 의미는 아니다.


"행동을 시작하는 것이 실천의 비밀이다."

자신의 직관을 따르며 결단을 내리는 힘도, 대범하게

도전할 힘도 결국 행동력에서 나온다.


결정적 순간에 대범하게 행동하고 싶다면 반드시

경계해야 할 요소가 있다. 바로 지나친 완벽주의다.


성공하는 삶이란 질문하는 삶이다. 철학은 바로 질문하는

법을 알려준다.


알고 있는가? 나 자신은 항상 스스로 극복해야 하는

존재다.


기쁨은 항상 현실과 싸운다. 반면에 슬픔은 비현실과

끝없이 싸운다. 비현실과 싸우는 것이 불행이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dasanbooks

@chae_seongmo


#태도의철학 

#샤를페팽 #다산초당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태도 #실패 #시련 #경험 #성공

#질문 #실수 #배움 #지혜 #거부

#결단 #완벽주의 #행동 #현실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