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에 쓰는 맹자 ㅣ 하루 10분, 고전을 만나다 6
한치선(타타오) 지음 / 알비 / 2024년 9월
평점 :
하루 10분, 고전을 만나다.
주옥과 같은 명언이 넘치는 원문과 해설,
심리적인 안정감과 두뇌 자극을 통한 두뇌 활동 향상!
'맹자'는 맹자와 그의 제자들 어록을 모은 것이
주된 내용이며, 그 외에 전해 내려오는 인용구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사서삼경 중 하나로
공자의 논어와 함께 대표적인 고전입니다.
與民偕樂故 能樂也.
여민해락고 능락야.
- 백성들과 함께 즐겼기 때문에 능히 즐길 수
있었습니다.
仁者 無敵.
인자 무적.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古之君子 過則改之, 今之君子 豈徒順之 又從而爲之辭.
고지군자 과즉개지, 금지군자 기도순지 우종이위지사.
- 옛날 군자는 허물이 있으면 고쳤는데, 지금 군자는
(허물을) 그대로 밀어 부치고 뒤따라 변명까지 하는구나.
志士 不忘在溝壑, 勇士 不忘喪其員.
지사 불망재구학, 용사 불망상기원.
- 뜻 있는 이는 구덩이에 빠지더라도(그 소신을) 잊지
않고, 용감한 이는 죽음에 이르러서도 잊지 않는다.
古者 易子而敎之.
고자 역자이교지.
- 옛날에는 아들을 바꾸어 가르쳤다.
- 자기 자식을 직접 가르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표현하는 말이다.
言人之不善 當如後患 何.
언인지불선 당여후환 하.
- 남의 좋지 않은 일을 말하다가 그 후환을 당하면
어찌 할 것인가.
仁 人心也, 義 人路也.
인 인심아, 의 인로야.
- 인은 사람의 마음(본심)이오, 의는 사람의
(마땅히 행할) 길이다.
仁也者 仁也 合而言之 道也.
인야자 인야 합이언지 도야.
- 인(仁)이란 사람이니(사람이 행하는 것이니)
이 둘을 합쳐서 말하면 '도'이다.
養心 莫善於寡慾.
양심 막선어과욕.
- 마음 수양에는 욕심을 줄이는 것 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realbooks
@chae_seongmo
#오십에쓰는맹자 #타타오
#한치선 #리얼북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맹자 #하루 #10분 #고전 #필사
#인 #마음 #군자 #소신 #수양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12/pimg_764372230442921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12/pimg_764372230442921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12/pimg_764372230442921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12/pimg_764372230442922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