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글을 쓴다는 것 - 우리의 인생이 어둠을 지날 때
권수호 지음 / 드림셀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인생이 어둠을 지날 때.

‘작지만 빛나는 순간’을 찾기 위한 마흔의 글쓰기!


나의 마흔은 암울했다. 아침에 눈을 뜨는 것조자

괴로웠던 때, 삶은 쇼펜하우어의 말마따나 고통과

권태가 시계추처럼 반복되고 있었다.

불현 듯 사라지는 '지금'에 두려움이 몰려왔다.

찰나의 시간이라도 붙잡고 싶었다.


내 인생을 살아 온 사람이 세상에 나뿐이라서가 아니라,

나에게 공명하는 독자가 있기에 삶이 특별해질 수 있다.

누구나 쓸 수 있다. 쓰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글쓰기는

누구에게나 공평한 일이니까.


"언제 어디서 글을 써야 하나요?"

하나는 시간이 문제고, 다른 하나는 장소의 문제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말 것.


쌓아 온 생각이 많을수록, 사유가 깊어질수록 좋은 글이

되어 세상 밖으로 나올 것이다.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했던,

나와 전혀 관계없다고 여겼던 수많은 존재와 나를 연결

짓는 행위다.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헤밍웨이의 '쓰레기 명언'의 핵심은 퇴고가 아니다.

글을 고치는 것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의 말에는 이보다

훨씬 중요한 글쓰기의 진리가 담겨 있다.

글을 고치려면 '고칠 글'이 있어야 한다.


세상에 완벽이란 없다. 글쓰기에 있어서는 더더욱.

퇴고할수록 고칠 부분이 계속 보인다는 사실이 이를

방중한다. 쓰기 힘들때 해결책은 다음의 두 가지뿐이다.

1. 막 쓰기

2. 걍 쓰기


어느 작가가 그랬다. 글쓰기에 가장 좋은 장소는 카페도

사찰도 아닌 '마감'이라는 시간의 감옥이란다. 나는 매일

점심마다 스스로 만든 감옥으로 걸어 들어간다.

이것이 나의 루틴이다.


"행동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

이것은 '목표 설정과 실행'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1. 무조건 짧게 쓴다.

2. 대화나 인용구를 언급한다.

3. 배경(시간, 날씨, 장소 등)을 쓴다.


자꾸만 주제를 겉돌고 곁다리로 빠져 버리는 글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그의 이름은 다름 아닌 '하나의 문장'이다.

문장 하나가 글쓰기를 잡아준다.


쓰기의 과정은 언제나 성취와 연결되어 있다. 쌓인 글을

모으고, 하나의 주제로 기획하고, 세상에 내놓을 글로 

만들어내는 작업 역시 도전과 성장의 연속이다.


퇴고의 3단계, 첫 번째 퇴고는 '눈으로 한번 훑기'다.

두 번째는 입으로 소리 내며 읽는다.

이렇게 두 번의 필터링을 거쳐 발행 전 마지막 코스인

 '맞춤법 검사'이다.


출간통의 주요 증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그 이름도

어마무시한 검색병, 판매지수병, 서평탐구병이다.


글쓰기를 시작하면서 세상을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

작고 소중한 것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풍경과 장면과

사건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인생에서 겪는 모든 일이 글쓰기의 소재가 된다.

설사 좋은 일이 아니어도 괜찮다. 나쁜 일에서 무언가를

분명 배웠을 테니까.


글쓰기는 시간을 기록하는 일인 동시에 그것을 현재로

가져오는 행위, 자칫 잃어버릴 수 있었던 삶의 순간과

어물쩍 지나쳐버리고 몰랐을 행복의 의미를 붙잡아

두는 작업이다.


내가 글쓰기를 통해 주목하는 변화는 쓰지 않던 사람이

쓰기를 시작하면서 나타나는 생각과 사고, 태도와 행동의

변화다.


@dreamseller_book


#마흔에글을쓴다는것 #권수호

#드림셀러 #권태 #글쓰기 #공명

#시간 #장소 #초고 #사유 #퇴고

#마감 #행동 #루틴 #한줄요약

#성취 #관심 #경험 #행복 #변화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