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성형
권준우 지음, 배상우 감수 / 푸른향기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저보고 깜박거린대요"

나는 이 말이 참 무섭다. 환자의 증상을 주변 사람이

느낄 때쯤이면 이미 인지저하가 진행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인지저하는 되돌리기 어렵다. 무조건 미리 준비하고 예방하는

수밖에 없다.


나는 뇌건강과 기역력을 지키는 3요소를 인지예비능, 

기저질환 관리, 생활습관 교정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 3요소를 잘 관리해야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인지예비능이란, 뇌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노화에 대비하는

것이다. 뇌의 신경세포는 시냅스라고 하는 연결고리를 통해

서로 이어져있다.


치매의 증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5가지 증상이

흔하다. 기억력 저하, 언어 장애, 시공간 능력 저하, 성격 변화,

계산 능력 저하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가장 흔한 형태의 치매이며, 대뇌 피질 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되면서 초반에는 가벼운 기억력 장애가 나타나지만,

곧 언어장애, 시공간 능력저하, 성격변화 등이 나타나게 된다.


혈관성 치매는 뇌졸증에 의해 뇌손상을 이버 발생하는 치매다.

뇌졸증에 의해 발생하므로 발음장애, 편마비, 감각이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환되는 데에는 공고화 과정이 필요하다.

기억이 증발해 사라지지 않게 단단하게 응고시키는 것이다. 공고화

과정에 있어 내측두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신경세포는 새로 생성되지 않지만 신경세포 사이의 시냅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새로운 시냅스가 형성되고 기존의 시냅스가

사라지는 것을 반복하면서 신경세포의 기능도 바뀐다.

운동을 해서 자극을 주어야 근육이 자라는 것처럼, 뇌도 자극이

필요하다.


국내 연구 결과 귓볼에 주름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약 2배 높았다. 또한 인지장애 환자의 약 60%에서 귓볼

주름이 관찰됐다.


취미생활을 권유하는 이유가 있다. 하나를 깊게 파는 것도 좋지만,

뇌는 넓게 사용해야 한다. 그래야 뇌가 건강해진다.


보드게임은 인지력 향상에 매우 유용하다. 인지예비능 이야기에

있어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외국어 배우기다. 제2외국어를 배우면

인지능력이 향상되고,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


비타민B든 오메가3든 챙겨먹기 복잡할 때는 그냥 제철 음식

잘 먹는게 최고다.


되도록 피해야 할 것은 포화지방과 트랜스 지방, 과다한 음주,

과다한 나트륨 섭취이다.


치매환자의 9가지 위험요소는 저학력, 고혈압, 비만, 흡연,

우울증, 운동부족, 당뇨, 사회적 고립, 난청이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들이다. 치매의 예방에 있어서 대단히 특별한 것이

있는 게 아니다. 이렇게 사소하고 흔한 질환들이 교정되지 않으면

결국 치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씹는 행위는 그저 음식을 잘게 부수고 침과 섞어 삼키기 좋게

만드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바로 그 행위 자체로 스트레스를

풀게 하고 집중력을 높이며 수행능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prunbook


#치매예방을위한두뇌성형 #권준우

#푸른향기 #치매예방 #치매증상 

#치매 #건강 #책추천 #서평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인지저하 #기억력 #성격변화

#뇌신경세표 #취미생활 #외국어

#제철음식 #위험요소 #집중력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