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보그 가족의 밭농사 - 조기 은퇴 후 부모님과 함께 밭으로 출근하는 오십 살의 인생 소풍 일기, 2023년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추천
황승희 지음 / 푸른향기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제공 #협찬


조기 은퇴 후 부모님과 함께 밭으로 출근하는

오십 살의 인생 소풍 일기


밭을 잃은 엄마 아빠, 직장을 버린 나, 우리는 작당모의

끝에 내가 사는 군산에서 함께 밭 농사를 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이 글은 밭농사 이야기이면서, 바다보다는 시냇물 같은

인생 소풍 이야기이다.


가볼 만한 곳을 거리별로, 일정별로, 계절별로, 맛집별로,

코스를 패키지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군산이다.

나처럼 산책 좋아하는 사람에게 군산은 무릉도원이다.


아빠는 계획이 다 있었다. 텃밭이 다가 아니었다.

'텃밭을 가장한 과년한 딸 노후 대책 만들어 놓기'인 

것이었다.


농사 월드가 곧 농협 월드라 해도 틀린 말을 아닌 듯하다.

검색해도 다 나온다거나 무엇이든 물어보는 포탈 지식도

현실에서 쓸모없을 때가 발생한다. 정보 공급자와 수급자

사이에 깊고 넓은 상식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농지원부 작성, 농업경영인 등록, 농협 조합원 가입. 

이 세가지 다 마쳐야 비로소 진정한 농업인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우리 가족은 사이보그 인간이다. 인공물의 도움을 받아

일상을 유지하는 인조인간. 엄마는 귀에는 보청기가,

발목에는 철이 박혀있다. 신체의 일부가 되어버린 아빠의

틀니. 나는 임플란트를 해서 구강 엑스레이 사진을 보면

꼭 터미네이터처럼 나사가 살벌하게 보인다.


수확을 기다리는 기쁨은 마치 지난 시절, 수렵 채집하던

구석기의 본능을 추억하게 한다. 무엇보다 부모님과

함께하는 즐거운 여행이다.


작물 따라 파종 방법이 다 다르다는 것도 너뭄 신기했다.

시금치는 종자를 흩어 뿌림으로, 고구마는 줄기 모종으로

심었고, 마늘은 우리가 아는 통마늘 알로 심었다.

감자는 통감자를 조각내서 싹 난 곳이 위로 가게 해서 심었다.


어떤 터널도 끝이 있는 법. 이러저러한 이유로 나는 자발적

조기 은퇴를 실천했고, 이제 조직 생활은 없으며, 싫은 자리는

가지 않아도 되는 일상을 살고 있다. 생각도 바뀌었다.

지나고 보니 아무것도 아닌 것을 . 그리고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게 되었다.


"인생 뭐가 있니? 목숨 붙었으니 사는 거지."

엄마의 대답은 동그라미처럼 쉽고 간결하다. 인생은 뭐가

없다는 거. 이상하게 촥 달라붙는다. 무학의 통찰이로다.


평소 철없다는 말을 듣는 편이다. 나는 그게 좋다. 철들지

않아서 좋다. 철들지 않는 어른이 나의 취양이다. 감탄사를

잘할줄 아는 어른,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아는 어른.


철학의 본질이 사유에 있다고 누가 그러던가, 철학의 본질은

육체에 있다. 육체는 스스로 주도권도 없다. 

육체는 그 자체로서 한계이다.


내 남은 인생의 화두는 이제 '외로움'이다. 지금부터 찬찬히

고민해볼 것이다. 오히려 나를 사랑하듯 나의 외로움마저

잘 안고 달래며 살아갈 것이다.


결혼할 땐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 생각에 행복했고,

이혼할땐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 더 이상 살지 않아도 되어서

행복했다. 나의 두 선택은 모두 행복했다.


어쨋든 털은 일상이다. 우리 집사들은 모든 털을 기꺼이 감수한다.

어깨 탈골이 온다 해도 우리 나뷔가 나한테 주는 사랑을 포기할 수

없다. 이제 너 없이 못 사는데 털이 대수일까.


@prunbook


#사이보그가족의밭농사 #황승희

#푸른향기 #귀촌 #귀농 #시골살이 

#에세이 #에세이추천 #서평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밭농사 #농업인 #사이보그

#여행 #파종 #사랑 #인생 #육체

#건강 #외로움 #집사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