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한국사 : 영웅편 - 본격 우리 역사 스토리텔링쇼 벌거벗은 한국사
tvN〈벌거벗은 한국사〉제작팀 지음, 최태성 감수 / 프런트페이지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격 우리 역사 스토리텔링 쇼,

역사의 소용돌이에 부딪칠 때마다 우리에겐

그들이 있었다!


동아시아 삼국이 공통적으로 영웅으로 추앙하는 

인물이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이 인물을 신라 시대

해상왕이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크게 활약한

장보고입니다.


장보고가 당나라로 떠난 데에는 신라의 골품제도

영향이 컸습니다. 신라는 혈통에 따라 골과 두품으로

신분에 차별을 두었는데, 일반 귀족과 평민이 속하는

6개의 두품도 수도에 사는 사람으로만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장보고가 무역으로 마음을 돌린 것은 무령군에서

더 위로 진급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인

듯합니다.


장보고는 적산법화원을 통해 해상 무역을 위한

탄탄한 인맥과 더 넓은 판로를 얻게 된 것입니다.


장보고는 청해진을 세워 군사를 거느리도록 해준다면

신라인이 당나라에 잡혀가지 않도록 지키겠다고

제안한 것입니다. 놀랍게도 흥덕왕은 갑자기 나타난

평민 출신 장보고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입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따로 부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1592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두 차례의

침략을 아울러서 임진왜란이라 부르는 만큼 두 전쟁을

떼어 놓고 이야할 수 없습니다.


고문당한 몸으로 행한 백의종군, 하늘 같았던 어머니의

죽음, 생사를 함께한 병사들의 궤멸, 죽음을 각오하고

싸운 명량해전, 그리고 아들의 죽음까지.

몸과 마음의 고통을 홀로 삭이면서도 이순신은 조선

수군 총사령관으로서 책임을 다 했습니다.


사명대사는 불교의 계율을 어기는 것보다 당장 눈앞에서

일본군의 칼날에 쓰러지는 백성을 외면하는 것이 더 큰

죄라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조선 백성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잔학무도한 일본군에 맞서 칼을 들기로 결심합니다.


조선에서 보배는 무엇이오?

조선의 보배란 당신의 머리요.

칼을 찬 왜장 앞에서 겁을 내기는커녕 호기롭게 대답한

사명대사에게 카토는 무릎을 치며 탄복합니다.


관리도 양반도 아닌 일개 천민 기생인 김만덕이 전

재산을 털어서 육지에서 쌀을 사 와, 백성들에게 나눠줬단

사실을 알게 된 정조는 엄청난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양에 온 김만덕을 꼭 한번 만나고 싶었던 정조가 

김만덕에게 내의원 의녀 반장인 '의녀반수'란 벼슬을

하사합니다.



"나라를 위하여 헌신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

안중근은 애초에 도망갈 생각이 없었던 듯 보입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나면 주변 경비원들에게

저격당할 확률이 높으니 현장에서 죽거나, 만에 하나

살아남는다면 재판을 받을 것이라 생각했을 것입니다.


용기란 무엇일까요? 아무런 두려움 없이 달려나가는

힘일까요? 아닙니다. 두려움이 가득한 상태에서도

그것을 극복하는 힘, 그것이 용기입니다.


"도망가지 않을 테니 난폭하게 굴지 말라."

이봉창은 오히려 우왕좌왕하는 일본 경찰들을 진정시키고

당당히 체포 됩니다. 이렇게 이봉창의 거사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일본의 심장부인 도쿄에서 살아있는 신으로 추앙받던

일왕에게 폭탄이 투척된 사건은 일본 전체를 충격에 빠뜨립니다.


1933년, 가회동 33번지를 기점으로 시작된 한옥마을 재개발은

1936년 가회동 31번지까지 더해지면서 194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습니다. 이곳이 지금 한국을 찾는 세계인이 사랑하는 곳,

북촌 한옥마을 입니다.


#벌거벗은한국사영웅편

#벌거벗은한국사

#영웅편 #프런트페이지

#장보고 #이순신 #사명대사

#김만덕 #안중근 #용기

#홍범도 #이봉창 #영웅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