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단의 힘 - 조직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박귀현 지음 / 심심 / 2023년 11월
평점 :
조직 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팀 지능은 팀원의 지능이 아니다.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위한, 조직심리학의 획기적이고도 신선한
접근이다.
개인 심리와 집단 심리를 구분하고, 집단이 개인에게,
개인이 집단에게 미치는 영향을 아는 것만으로도 좀 더
분별력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다. 집단심리학은 우리가
대세에 쉽게 휩쓸려가지 않고 분별력을 가지도록 불을
깜박여 주는 신호등 같은 역할을 한다.
'팀워크'는 인간 집단이 갖고 있는 가장 오랜된 심리적
자질이기도 하다. 인간은 팀워크를 이용해 개개인의
능력을 한데 모아 공통의 목표를 이뤄왔다.
인간 개개인이 DNA라는 유전자의 조합이자 발현이라고
한다면, 집단은 이러한 개인들을 조합하여 인간이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도구이자 사회적 생명체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자기 자신과 자기가 속한
집단을 쉽게 동일시한다. 집단의 일을 자기 일로 여기는
것이 인간 심리의 기본 원리다.
인간의 내집단 선호는 '심리적 허울'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실존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는 '심리적 허울'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상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그중 하나가 허울이다.
심리학자들은 집단이 개인에게 아무것도 해 주지 않는
상황에서도 집단에 애착을 갖는 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심리라고 말한다. 내 집단을 나와 동일시하고 내 집단의
안녕을 내 안녕과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테러 조직은 이런 이유로 철저히 자신들의
정체와 의도를 숨긴 채 임무를 수행한다. 이런 환경에서도
조직이 끈질기게 살아남고 활동할 수 있는 원료는 바로
집단 회원권이다.
집단에서는 다수의 판단을 기준으로 그 집단의 규범이
형성된다. 그래서 규범은 시대마다, 집단마다 판이하게
다를 수 있다.
다수의 행동과 생각을 따르는 무의식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있다. 다수의 행동과 생각을 따르는 인간의 습성은
인류가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소수 의견은 겉으로는 영향력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우리에게 강한 잔상을 남겨 세상을 보는 시각을
조금씩 천천히 바꿔 나가는 힘이 있다. 삶을 살아가는 방식
또는 성공에 대한 정의에서도 마찬가지다.
소수 의견자가 자기 주장에 대한 근거와 이유를 말하면
다수의 견자도 이에 따라 자기 주장의 근거와 이유를
말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의견은 같지만 근거와 이유는
달랐다는 것을 알게 되기도 한다. 소수 의견자는 '왜?'를
이끌어 내고 또 '왜?'는 한층 더 심도있는 토론을 이끈다.
무행동 따돌림의 특징 중 하나는 상대방이 마음먹고
계획적으로 무행동을 하는지 아닌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집단과 자신의 경계를 혼돈한다. 이 때문에 자신이
집단에 속하고 있지 못하고 느끼는 소외감은 존재 자체를
위협하는 감정이다.
우리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집단 토론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집단에서 더 많은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견의 융합성, 이는 한 집단 안에서 서로가 자신과 다른
의견을 어느 만큼 이해하고 그것을 어떻게 하나의 의견으로
융합하는지에 따라 그 집단의 창의성이 달라진다는 학설과
연관되는 결과였다.
인종차별은 무지보다는 실존하는 정보들을 기만하는 오만에서
생긴다. 오만한 사람들은 자신의 인종차별적 · 성차별적 인식이
탁월한 감각과 경험에서 나왔기 때문에 평범한 사람의 철학과는
수준이나 차원이 다르다고 할 것이다. 그 자만심은 고치기 힘든
병과 같다.
@prunsoop
#집단의힘 #박귀현
#집단심리 #팀워크 #심리학
#집단 #심리적허울 #내집단
#집단회원권 #규범 #소수의견
#소외감 #정보 #공유 #자만심
#조직관리 #조직문화 #CEO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