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공부 -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논어가 전하는 ‘사람다움’의 가르침!!


공자에게 평생을 신천할 한마디 말은 '서(恕)'이고,

그 실천 방법은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다. 서를 한자로 풀어보면 같은

여(如)와 마음 심(心)으로 구성된다.


충과 서는 공자의 핵심 철학인 인(仁)을 풀어서 말한

것이다. 충은 마음의 중심을 바로 세우는 것으로

자신을 충실하게, 올바르게 한다는 것이다.

서는 상대방과 마음을 같이한다는 것이다.


배움이란 단순히 지식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쌓아나가는 것이다. 핵심을 정확히 배워 알고, 배운 것을

삶에서 실천하는 것이 배움의 요체다.


자신의 부족함과 실수, 잘못에 대해 화가 난다면 스스로

고쳐나감으로써 해소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 그 유일한

방법은 자기 성찰이다.


지금 하는 일과 삶이 고단하다고 느껴진다면, 지금 자신이

누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행복한

삶이란 얼마나 많을 부를 가졌는지, 어떤 지위에 올랐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주어진 위치에서 소명과 의미를

찾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진정한 지식이란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자각하는 데 있다.

그리고 그것을 자신은 물론 남 앞에서도 인정하는 데서

학문의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공자는 많은 공부로 폭넓은 정보를 얻고, 그중에서 잘못된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분별력을 키우며, 이를 바탕으로 말과

행동에 신중을 기한다면 출세는 '저절로'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지위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그 자리에 합당한 능력을

갖추기를 걱정해야 하며,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다른 사람이 알아주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내 앞에 선 사람을 이해하고 장점은 인정하고 단점은

용납할 때 진정한 서의 정신을 실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마음과 함께할 때 '사랑'이라는 결실을 얻는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확 있다. 그를 멀리서 바라보면

위엄이 있고, 가까이서 대해보면 온유하며, 그의 말을

들어보면 엄정하다.


자신보다 나은 사람과 어울리는 사람은 배움의 자세가

갖춰진 것이다. 일상에서 항상 좋은 점을 배우고 자신의

것으로 삼기에 이들은 날마다 성장한다.


진정한 용기란 신중한 판단과 지략, 그리고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무조건 돌격하는

것은 용기가 아니다.


"많은 사람이 미워한다고 해도 받드시 살펴야하며, 

많은 사람이 좋아한다고 해도 반드시 살펴보야야 한다"는

말처럼, 사람을 판단하는 일은 여론이나 주위의 분위기에

쉽게 따라서는 안 된다. 반드시 직접 판단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른 사람을 아는 것은 지혜이지만, 나 자신을 아는 것은

명철함이다." 명철함이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사람과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밝음, 즉 통찰력이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chungrimbooks

@chae_seongmo


#사람 공부 #조윤제 #청림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논어 #공자 #서 #충 #인

#배움 #자기성찰 #행복

#지식 #사랑 #군자 #용기

#판단 #명철함 #통찰력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