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미래 일자리 2030 - AI시대의 일자리 변화와 새로운 기회
윤혜식 지음 / 미디어샘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시대, 6900만개 새 일자리 생긴다!

<세계경제포럼>


챗GPT 이전의 시대를 '검색의 시대'라고 한다면

챗GPT 이후의 시대는 '생성의 시대'다.


챗GPT는 딥러닝 기반으로 한 AI기술이다.

AI는 인간의 뉴런 구조처럼 기억하고 학습하는

방식을 모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챗GPT와 다양한 서비스 앱을 연결할 수 있는 이유는

API라는 기술 덕이다. API는 다른 개발자나 기업들이

챗GPT 모델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다.


AI는 단순히 질문에 답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미지와 영상, 음악 그리고 코딩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에게서 높은 품질의

응답을 얻어낼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질문하는 방법을

말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AI의 작동방식과 한계에 대해

알아야 한다"며 'AI 리터리시(literacy,문맹퇴치) 

교육'이 필요하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


지금의 경제체제는 AI시대와 맞물려 긱이코노미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긱이코노미란 '임시로 하는 일'이라는

뜻의 기(gig)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의 합성어로,

필요에 따라 임시로 맡기고 구하는 경제를 말한다.


로봇과 AI를 기반으로 한 4차산업혁명으로 대량 실업이

발생하겠지만 AI로 대체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사람만이

할 수있는 창의성, 공감능력, 관리능력이다.


■ 복합문제상황의 특징

1. 복잡한 문제 상황

2. 얽혀 있는 변수

3. 역동적인 상황

4. 불투명한 정보

5. 여러 목표


■ 복합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

1. 문제 정의

2. 다양한 해결책 찾기

3. 계획 선택

4. 계획 실행


AI가 우리의 일자리를 뺏는 것이 아니다

AI를 잘 다루는 사람이 우리의 일자리를 뺏는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


메가 트렌드는 긴 시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큰 규모의 변화를 말한다. 반면 마이크로

트렌드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 특정 지역이나 산업에

영향을 준다.


세계경제포럼은 이전에도 혁신과 기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하지만 업링크는

이전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경쟁의 개념을 도입했다.


관찰이 가능한 데이터는 로그, API 호출, 다운로드,

파일 전송 등과 같이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어떤 액션을

취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객관적 지표를 말한다.

이런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응용한다면 어떤 문제사항이

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추론이 가능하다.


MS는 AI 악용 사례를 개발 단계에서부터 막기 위해 AI

구현을 위한 6가지 핵심 원칙인 책임감, 포용성, 안정성 및

안전성, 공정성, 투명성,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챗GPT미래의일자리2030

#윤혜식 #미디어샘 #챗GPT 

#AI #교육 #로봇 #창의성 #공감 

#관리 #관찰가능성 #악용

#메가트렌트 #마이크로트렌드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