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례한 사람을 다루는 법 - 유연하게 대처하고 단호하게 거절하는 소통 심리학
이헌주 지음 / 허들링북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 어디서나 되풀이 되는 인간관계 문제가 있다.

유연하게 대처하고 단호하게 거절하는 소통 심리학


동화<빨간 모자>에 등장하는 늑대에게는 인간관계에서

타인을 지배하고 이용하며 착취하는 사람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다.


내면의 탐색하며 자신을 이해하다 보면 지금껏 겪었던 인간관계

문제의 많은 부분이 본인 잘못이 아니었음을 깨닫게 된다.


타인이 씌운 비난의 굴레를 벗겨라.

분명히 말하지만, 그건 당신 잘못이 아니에요.


'착한 아이 콤플렉스'란 상대에게 좋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는 것이다. 이 콤플렉스에 시달리는 사람은

속에서는 화가 나는데도 겉으로는 상대의 말을 따른다. 겉과 속이

불이치되는 유형이다.


동화(헨젤과 그레텔)에서처럼 부모에게 학대당하거나 가정에서

부당한 일을 당한 아이는 불안을 많이 느끼게 된다.

아이는 착한 아애가 되면 부모의 마음을 얻으리라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 자신이 정말 내고 싶은 목소리를 감춘다.


압박감이란 외부의 목소리다. 원래 내 것이 아니므로 내 욕구가 

아니다. 압박감이 밀려들 때면 진짜 자신의 욕구를 조금씩 말해보라.


비난은 무언가를 잘 따르지 않았을 때, 어떤 잘못을 했을 때 일어난다.

비난은 굉장히 아프기에 비난을 듣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그러나 노력해도 잘되지 않아서 비난이 계속 반복되면 자포자기하기

쉽다.


따돌림을 겪을 때는 세 가지 양상이 있다. 첫째, 자신이 따돌림을

겪는지 미처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야 알고 상처받는 경우다.

둘째, 따돌림을 빠르게 눈치채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경우다.

셋째. 따돌림을 눈치채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 묵묵히 견디는 경우다.


관계성과 공감력이 높은 아이는 때로 부모의 불안에 영향을 크게 받아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앓는다.


해를 입히는 사람의 특성 유형들을 네 가지로 체계화 시켰다.

첫째, 차갑고 관계 욕구가 낮은 '얼음형'이다.

둘째, 자기애적인 '나르시시스트'이다.

셋째, 경계가 없는 '집착형'이다.

넷째, 공감력 제로인 '소시오패스'다.


욕구가 적어서 무뚝뚝하기까지한 냉정해 보이는 사람으로, '얼음형'이다.


나르시시스트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적 방식이 매우 착취적이라는 것이다.

나르시시스트는 겉으로 화려하고 크게 성공했으며 매력적으로 보이기에

주위에 사람들이 모인다.


유혹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굉장히 탐스러워 보여서 유익을 줄 것

같은 유혹이 있고, 또한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유혹이 있다.


세이렌은 아름다운 목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잡아먹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괴물이다. 인간관계에서 세이렌은 '경계가 없는 집착형'으로 비유된다.


집착형의 핵심 감정은 불안이다. 불안하면 누군가를 붙들려고 한다.

잡힌 사람은 숨이 턱 막힌다. 불안은 타인에게로 전이되는데, 상대는

조이는 것 같은 압박감을 느끼고 경직되기 마련이며 삶의 자율성이 사라진다.


소시오패스는 끊임없이 약한 상대를 찾는다.


세상의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우리는 유연하게 대처하고 단호하게

스스로를 지킬 줄 알아야 한다.


내 인생이라는 무대의 주인공은 바로 내가 되어야 한다. 

혹시 나보다 남을 더 생각해주고 배려해주는 않았는가?


상대의 욕구를 존중하는 동시에 당신 욕구를 말하기

지금은 어렵다고 솔직히 말하기

화가 났을 상황에 공감하고 그 감정을 타당화하기

분노 감정 자체를 타당화하고 그 이유를 묻기


우리는 날마다 변한다. 넘어졌다가도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위축되었다가도 당당히 어깨를 펼 수 있다. 이런 생각의 토대 위에서

유연하면서도 단호한 사람이 되길 바란다.


@huddlingbooks


#무례한사람을다루는법 #이헌주 #허들링북스

#인간관계 #콤플렉스 #불안 #압박감

#비난 #따돌림 #얼음형 #나르시시스트

#집착형 #소시오패스 #유혹 #세이렌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