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빅 웨이브 - 초거대 AI가 불러올 비즈니스 변화
김지현.최재홍 지음 / CRETA(크레타)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챗GPT는 대화를 말하는 '챗chat'과 AI 모델의 하나인 'GPT'의

합성어로,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챗GPT는 말과 글을 만들어 내서 사용자가 쓸 수 있는 서비스다.

이런 서비스를 가리켜 무엇인가 만들어 내는 '생성 AI', 다른

표현으로는 'AGI(범용 인공지능) 서비스', 초 거대 AI라고 한다.


GPU가 LLM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비용이 드는데,

이는 새로운 NPU(신경망 연산처리 장치), 즉 AI 반도체 칩셋에

드는 비용이다.


점차 AI가 만든 콘텐츠의 비중이 늘어날 것이며, AI를 믿지 않고

사람이 만든 콘텐츠를 찾는 현상도 생길 것이다.


LLM(거대 언어 모델)은 자연어의 뉘앙스를 이해하고, 일관되고

상황에 맞는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방대한 양의 텍스틀 데이터에

대해 훈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챗GPT는 검색을 대체할 것이냐고 묻는다면 그럴 것 같지 않다고

답할 것이다. 검색은 특정한 정보를 찾기 위해 여러 페이지를

탐색하며 하나하나 곱씹으면서 생각하고, 다른 정보를 비교,

비판하면 탐구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나 AI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서

제일 중요한 핵심은 '목적'에 대한 정의다.


AI 트랜스포메이션은 다양한 비즈니스 문제 해결에 이용될 수 있고,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2가지 솔루션이 있다.


웹3라는 가치를 블록체인으로 가장 좋은 공간은 웹과 모바일도

있지만 가장 잘 어울리는 공간은 메타버스다. 


로봇 청소기에 챗GPT나 GPT-4가 결합하면 청소기의 작동이 사람이

청소하는 것처럼 진일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사물인터넷 기기에

LLM이 접목되면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파인튜닝은 LLM을 학습시키는 게 아니다. 이미 학습되어 나온 LLM

위에 사용 과정에서 조정이 필요할 때 하는 것이다. '뭐는 말하면

안 되고, 이건 진실성을 더 높이고, 이건 창의성을 좀 낮춰야 해'라고

조정하는 것이다.


LLM이 함부로 답변해서는 안 된느 인종차별, 성 착취, 폭탄 제조법과

해킹, 그리고 기업의 보안 정책에 위배되는 내용을 끄집어내는 기법을

프롬프트 인젝션이라고 한다. 나쁜 의도를 가진 프롬프트를 차단해

실행하지 못하게끔 필터링을 해서 막아야 한다.


■ 챗GPT의 한계와 넘어서야할 최종 목표

1. 모호함의 극복

2. 편향의 극복

3. 뉘앙스의 이해

4. 감정의 이해

5. 풍자언어나 비아냥의 이해

6. 자연스러운 응대

7. 끊임없는 진화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crera0521

@chae_seongmo


#챗GPT빅웨이브 #김지현 #최재홍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CRETA

#챗GPT #AGI #생성AI #GPU #LLM #NPU

#검색 #목적 #솔루션 #메타버스 #파인튜닝

#보안 #프롬프트인젝션 #모호함 #편향 #감정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