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성을 잃지 않고 아이를 대하는 마음챙김 육아 - 부모의 감정과 내면을 돌보는 감정회복 육아 심리학
헌터 클라크 필즈 지음, 김경애 옮김 / 서사원 / 2023년 4월
평점 :
“아마존 갈등 관리 부문, 육아 심리 부문 베스트셀러”
마음챙김은 인지, 즉 어떤 순간에 나의 내면과 주변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채는 과정에 대한 수련이었다.
우리는 부모가 되고 나면 흔히 자신이 아이의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곧 아이 역시 우리의 선생님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대니얼 J. 시겔, 메리 하트젤>
많은 부모가 육아 과정에서 생기는 어려움이나 불안, 좌절을
아이의 탓으로 돌린다. 아이를 '교정'하면 삶이 더 나아질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이에게 책임을 돌리는 대신
부모가 육아 스트레스트와 난관을 사라져야 할 문제가 아닌
가르침을 줄 대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이성의 상실은 뇌가 그 상황을 위협이라고 잘못 인식하면서
자동 반사적으로 반응할 때 일어난다. 아이와의 갈등은
무의식적으로 생물학적 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
현재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에 온전히 마음을 기울이지
못하면 아이에게 표면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의 이면에
감춰진 속내를 파악할 기회를 놓치고 만다.
아이는 부모가 진심으로 자신의 말을 듣고, 자신의 모습을
봐 주길 원한다.
육아는 깨달음을 얻는 지름길을 걷는 수행인지도 모른다.
부모가 아이를 위해 자신의 니즈를 계속해서 희생하면
부모와 아이는 모두 패자가 되고 만다.
자기관리는 부모의 의무다.
친구나 가족과 시간 보내기.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를
막는 완충재 역할을 해서 우리를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한다.
어떤 식으로든 자신에게 연민을 느끼게 되면 행동에 대한
책임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타라 브랙>
네프 교수는 자기 연민을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 인간적
유대감, 마음챙김의 세 가지 요소로 정의했다.
불완전함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든다.
스스로를 친절하게 대하는 일은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한 근본적 바탕이 된다. 이기적인 면모가 아니라
현명한 태도다.
공감은 아이와 더 끈끈한 유대관계를 맺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다. 또한 학습하고 향상될 수 있는 능력이기도 하다.
서둘를수록 아이와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다. 속도를 줄이면 그 가치는 충분히 발휘될
것이다.
불쾌함을 피하고 싶은 충동은 회피로 이어진다.
회피는 혐오를 낳고 혐오는 공포를 유발하며 공포는 증오로
바뀐다. 증오는 공객적 성향으로 변한다.
<스티븐 코프>
우리가 하는 말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반복하는 말이다.
<달라이 라마>
우리는 누군가에게 잘못이 있다는 선입견을 바탕으로
갈등 상황에 접근한다.
판단하려는 태도를 멀리하고 갈등을 바라볼 수 있다면
우리는 조금 더 신중하게 반응할 수 있다.
부모의 니즈도 아이의 니즈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아이는 부모의 '나 메시지'를 부모가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받아들인다.
체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이에게 도움이 될 만한
가르침을 전하지 못하며 체벌에 대한 두려움은 장기적
관점에서 아이를 부모에게 덜 협조적은 사람이 되도록
만든다.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선물은 책임이라는
뿌리와 독립이라는 날개다.
<데니스 웨이틀리>
긍정적인 신체 접촉은 애정과 관심, 걱정을 표현하는
강력한 도구다.
아이가 권리를 누리기 전에 책임을 다하는 원칙을
세우면 양육이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먼저 ···을 마친 다음(책임), ···을 하자(재미)"라고 표현한다.
아무런 지시도 목적도 없는 자유로운 놀이 시간은 아이의
발달에 엄청나게 중요하다.
#이성을잃지않고아이를대하는마음챙김육아
#마음챙김육아 #헌터클라크필즈
#서사원 #육아심리 #육아정보 #마음챙김
#육아 #부모 #아이 #스트레스 #갈등 #이면
#희생 #자기관리 #연민 #불완전함 #공감 #선입견
#나메시지 #체벌 #책임 #놀이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