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처럼 - 진화생물학으로 밝혀내는 늙지 않음의 과학
스티븐 어스태드 지음, 김성훈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념을 뛰어넘는 흥미진진한 과학 지식의 향연,

건강한 나이 듦의 가능성을 품는 각양각색 동물 종들의 

수명과 생애로 풀어보는 ‘노화’와 ‘장수’의 수수께끼!


체구의 차이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종끼리 비교하기 위해 

직접 고안한 측정 방법인 ‘장수지수’를 근거로, 작은 체구로 

인한 취약성으로도 한계를 극복한 종에게 관심을 둔다.


‘코끼리와 고래는 왜 암에 잘 안 걸릴까?’,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산소가 부족한 땅속에서 30년을 넘게 산다고?’,

 ‘500년을 산 조개가 알츠하이머 치료의 열쇠가 될 수 있다?’ 

척추동물부터 절지동물에 이르기까지 노화에 더 잘 맞서도록 진화해온 

동물들의 삶을 기록해온 생물학자는 ‘자연의 창의성은 끝이 없다’고 

예찬한다.


혹시 노화의 침탈을 늦추는 데 인간보다 훨씬 성공적으로

진화한 종들이 살고 있는 야생의 실험실을 살펴보면

꼬마선충, 초파리, 길들여진 생쥐 같은 실험실 동물로부터는

결고 배울 수 없는 무언가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이런 물음에서 이책이 출발되었다.

그럼 책속으로 들어 보자!


=====================================


자연에는 일반적으로 장수를 가로막는 두 가지 장애물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환경적 위험으로, 포식자, 기근,

폭풍우, 가뭄, 독물, 오염, 사고, 감염성 질환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외부적 요인을 말한다.

또 다른 장애물은 내부에서 온다. 우리를 이런

위험을 노화라고 부른다. 그런데 노화는 동물 종에 따라

다른 속도로 일어난다.


거의 모든 종이 암에 걸린다.

암은 주로 노화로 야기되는데, 거의 모든 종은 환경적 요인으로

먼저 죽지 않는다 해도 결국에는 노화를 맞기 때문이다.

모두들 잘 알고 있듯이 세포가 통제를 받지 않고 미친 듯이

분열하는 것이 바로 암이다.


므두셀라는 [성경] 창세기에서 족장의 자식으로 언급된 사람들 중

가정 오랜 산 사람이다. [성경]의 주장에 따르면 969년을 살았다고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음식에 들어 있는 화학적 결합을 산소로

깨트려 에너지를 방출하는 세포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해로운

유리기를 동시에 생산하기 때문에 노화 및 수명과 관련해서

특히나 중요하다.

에너지의 전달과 사용 그리고 그에 따른 산소 유리기의 생산은

수명에서 핵심적인 요소다.


어떤 동물이 유충으로서의 삶이 길고 성체로서의 삶이 짧다면,

노화 속도와 관련해서 이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곤충의 유충은 탈피하는 동안 손상 부위를 고칠 수 있다.


물은 곧 생명이다. 생명에 동력을 공급하는 화학반응들은 

우리 몸속의 물에서 일어난다.


내온성 동물인 인간도 사람 크기의 악어보다 매년 25배나

많은 음식을 먹어야한다.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데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에 환경으로 계속해서 잃는

것보다는 열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우리의 힘줄과 인대는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겐은 갈변반응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뻣뻣해지는

단백질이다.


새들은 효과가 탁월한 항산화 방어 매커니즘과 신속한 복구

매커니즘을 갖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피를 주식으로 하는 동물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데는 이유가

있다, 피는 90%가 물이고 나머지는 사실상 모두 단백질이다.

피는 궁극의 저칼로리 고단백 식단이다.


포유류의 특기인 동면은 가변적이지만 통제된 양만큼 체온을

떨어뜨려 에너지를 보존하는 방법이다.


박쥐는 장수와 관련해서 그렇게 많은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방법이다.


박쥐와 새는 다른 모든 장수 동물과 중요한 차이점은

속도가 빠른 삶을 살면서도 장수한다.

장수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느린 삶을 사는 것이다.


유전체 염기서열분석 능력의 놀라운 발전은 21세기 들어

지금까지 이룩한 놀라운 과학적 성과 중 하나다.

최근에 장수하는 땅거북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보았더니

느린 대사뿐만 아니라 DNA 손상 복구 능력과 세포가 암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한 저항 능력이 그 들의 특출한 장수에 기여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암시가 나왔다.


개미의 사회는 여성 사회다. 여왕은 물론 암컷이지만 일개미

또한 모두 암컷이다.


코끼리에게 배울 것이 있는 종양억제유전자는 바로 TP53이다.

TP53은 세포의 DNA에 가해진 손상을 감지해서 그에 대한

반응을 지휘한다.


코끼리거북, 투아타라 등 이들이 장수할 수 있는 이유는

대체로 외온성, 체구, 그리고 서식지의 시원한 온도 덕분이다.


거대한 체구로 장수한다는 것은 북극고래와 다른 대형 고래에게

탁월한 암 저항능력이 있음을 암시한다.


진화는 당신보다 똑똑하다는 것이다.

<레슬리 오겔>


#동물들처럼 #스티븐어스태드

#장수 #환경적위험 #노화 #므두셀라 #미토콘드리아 #유리기

#수명 #에너지 #탈피 #물 #생명 #내온성 #갈변방응 #TP53

#항산화방어 #동면 #바이러스 #공존 #느린삶 #유전체염기서열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