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 하루 30분 3주면 된다!, 개정증보판
김병완 지음 / 청림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순히 교양을 쌓기 위해, 남는 시간을 때우기 위해,

흐리멍덩한 정신 상태로 느긋하게 하는 책 읽기는

인생을 좀 먹는 낭비이며, 가장 나쁜 습관이라는 말이

머릿속으로 파고 들어 충격이었다.


 '안구 회귀'와 '속발음'만 하지 않아도 독서의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며, 왼쪽 눈을 활용한 우뇌작극 리딩 스킬만

으로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경험 할 수 있었다.


=====================================


글자를 한 자 한 자 읽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얼굴이나 풍경을 한순간에 확인하듯

책을 읽는 것이다.


단순히 교양을 쌓기 위해, 남는 시간을 때우기 위해,

흐리멍덩한 정신 상태로 느긋하게 하는 책 읽기는

인생을 좀 먹는 낭비이며, 가장 나쁜 습관이다.

<헤르만 헤세>


나는 거인의 어깨 위에 앉았기 때문에

더 멀리 내다볼수 있었다.

<아이작 뉴턴>


인생을 바꾸는 것은 얼마나 많은 양의 

독서를 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독서를 하느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되돌아가서 읽는 '안구 회귀'와 

'속발음'은 다른 말로 '하위발성읽기'라고 한다.




■ 초독, 즉 퀀텀 독서법의 네 가지 의미

1) 자신의 능력을 뛰어넘어 독서한다는 의미다.

2) 자신의 기존 독서 속도와 깊이를 뛰어넘어

   자유자래로 한 차원 높은 독서를  하게 해준다.

3) 의식과 이성을 뛰어넘어 무의식 독서를 한다.

4) 평면적, 직렬적, 순차적 독서를 뛰어넘어

   입체적, 동시적, 병렬적 독서를 한다.


독서로 인생을 바꾸기 위해서는 독서의 기세가

달라야 한다. 그 기세는 바로 독서를 대하는

자세와 의식에 따른다.


남의 책을 많이 읽어라.

남이 고생하여 얻은 지식을 아주 쉽게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고, 그것으로 자기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소크라테스>


독서의 본질은 보는 것이 아니다.

텍스트와 눈은 보조도구일 뿐이다.

독서의 주인공은 바로 뇌다.

그래서 독서의 본질은 글자의

'디코딩(해독)'이 아니라 뇌의 '씽킹(생각)'이다.


책은 하나의 작은 세계다.

그 세계를 접함으로써 우리는 사유하고,

위안과 지혜와 통찰력을 얻게 되고,

꿈꾸는 법을 깨닫고, 밝은 내일을 설계할 

수 있다.


정말 대단하다.

더는 내 손가락이나 악보나 건반이

눈에 들어오지 않고, 오직 감정만 존재한다.

감정이 손가락을 통해 나온다.


오른쪽 눈은 초점이 정확히 잘 맞고 좁은 부분만

보인다. 반대로 왼쪽 눈은 초점이 잘 맞지 않지만,

넒은 부분을 볼 수 있다.

바로 이 차이를 독서에 이용하는 것이다.

잠자고 있는 우뇌의 독서인자를 깨우는

가장 쉽고 간편한 스킬이다.


■ 초공간 사이클 리딩

노멀 리딩→ 45도 리딩→ 의식혁명 리딩→ 90도 리딩

→포커스 리딩→ 인버트 리딩→ 브레인파워 리딩→ 

→270도 리딩 →315도 리딩 →노멀 리딩 →리버스 리딩 

→ 우뇌작극 리딩



■ 독서혁명 천재 사이클

우뇌리딩→ 45도리딩→ 90도리딩→ 인버트리딩→ 리버스리딩


■ 가장 강력한 훈련 스킬

1. 브레인 파워 리딩 스킬 - 믿음의 힘을 알고 있음

2. 우뇌 자극 스킬 - 속도

3. 인버트 리딩 스킬 - 이해




#퀀텀독서법 #김병완

#독서 #어떻게 #속도 #능력 #무의식 #입체적

#동시적 #병렬적 #기세 #자세 #의식 #뇌

#생각 #통찰력 #설계 #왼쪽눈독서 #브레인파워리딩스킬

#우뇌자극스킬 #인버트리딩스킬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