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부연락선 1 ㅣ 이병주 전집 1
이병주 지음 / 한길사 / 2006년 4월
평점 :
누가 관리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이 알라딘 서재 "로쟈의 저공비행"(이런 곳도 다 있군요. '나의 서재'라지만, 제가 만든 것 아닙니다. 저는 적응하려고 애쓸 따름입니다)에 한국 현대문학강의 공지사항중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이 텍스트로 되어 있어 관심갖고 읽게 되었다.
한국의 발자크니 한국의 사마천이니 하며 많은 작품(특히 역사소설)을 쓴 작가로 알려졌지만 개인적으로 이병주의 작품은 '허균','지리산' '바람과 구름과 비' 정도의 작품밖에 읽은 것이 없다. 2권짜리 이 소설을 읽고나니 작가에게 있어 향후 '지리산' 등 대하소설로 나아가는 기틀이 되는 작품이라는 생각이다.(실제 소설에서의 시간 흐름으로도 그렇다)
이 작품의 창작동기는 무엇일까? 5.16군사쿠데타 후 박정희정권에서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및 부속협정(한일협정)을 조인한지 3년이 지난시점인 1968년부터 월간지에 연재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 아마,일제강점기에 일본 유학파인 지식인으로서 살았던 자신의 삶과 제국(식민)주의라는 시대적 흐름속에서 식민지 우리나라의 상황에 대한 정리가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서 지식인들의 의식은 어떠했을까? 우리문학사에 그 유명한 이상을 비롯한 모던보이들에게 독립정신과 의지가 있었을리는 거의 없을 것이다. 겉으로 표나게 드러내지는 않았을지 몰라도 모던 또는 모더니즘이라는 신세계,신사상에 목말랐던 그들에게는 봉건왕조를 무너뜨리고,신상품과 신기술을 도입하였으며, 예술의 새로운 조류를 소개해준 일본에 대해 마음속으로 찬양과 함께 동경을 해 왔을것임에 분명하다.
그래도 양심적인 이 소설의 주인공인 유태림은 "고향으로 돌아가서 농사라도 지을까 하는 생각이 일었다가 금방꺼졌다. 너무도 터무니없는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도쿄를 떠나선 살아갈 수 있을것 같지 않다."(2권 184쪽)라고 솔직히 인정한다.
우리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자본주의 맹아론)이 치열한 논쟁을 거쳐왔지만, 결론은 나지 않을것 같다. 심정적으로야 조선후기 실학과 오일장등 장시의 성행에서 근거를 두는 내재적 발전론(자본주의 맹아론)을 믿고 싶지만,당시 조선이라는 나라가 객관적으로 그렇게 발전할수 있었을까? 신분제사회로서 관리들을 위시한 양반계급의 수탈과 착취를 통해 유지되었던 나라. 이 소설에도 언급되는 말이지만, 조선은 좀 더 일찍 망했어야 했다.
일제가 우리나라를 지배했던 기간이 길었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하는 상상에서 출발해 상당한 소설적 성취를 이룬 작품이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인데, 스타일이나 시대상황, 문체 등이 달라 직접적 비교는 어렵지만 '관부연락선'은 지나치게 현학적이고,사변적이다. 물론 1940년부터 1950년까지 격동의 시대, 일본 유학파 지주 아들이 겪는 의식과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긴 하다.
이 소설에서 한가지 눈에 띄는 대목이 있는데 작가 이병주가 흔히 을사오적이라고 불리는 매국노 중에서 이완용에 대해서는 다소 너그럽지만 송병준에 대해서는 격하게 욕을 한다는 사실이다. 이완용이 같은 이씨여서 그럴까?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