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동양고전 슬기바다 4
주희 지음, 윤호창 옮김 / 홍익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송시열이 평생 읽었다는 소학.

조광조가 제일 좋아 했다는 소학.

윤선도가 가장 애독 했다는 소학.

 

아침에 소학의 가언 제5를 읽다가 가슴에 와 닿는 말이 있어 적어본다.

안씨가훈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당초에 글을 읽어 도리를 배워 학문에 종사하는 것은 원래 사람의 닫히고, 막힌 마음의 문을

 열어 사물을 관찰하는 눈을 밝게 하여 행실을 바르게 하려는 것이다.

  .....세상사람들은 책을 읽고 다만 입으로만 말할 뿐이지 실제로 행동에 옮기지를 못한다.

  .....수십권의 책을 읽고 문득 스스로 높고 큰 것 같이 잘난체 하며 고자세가 되어 윗사람을

  무시하고 같은 또래의 친구들을 바보취급 하는자가 있다. .... 이와 같다면 독서와 학문으로써

  이익을 구하려 하던 것이 도리어 자기 자신에게 손해를 가져오게 된다.

  이것은 차라리 독서나 학문을 하지 않는 편이 오히려 낫다."

 

명심하고 반성해야 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unsun09 2017-08-25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가훈을 읽으니 사뭇 찔리는 바가 많아요.

sprenown 2017-08-25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가슴이 너무 찔려서 이제는 고슴도치가 되었습니다.

cyrus 2017-08-28 1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약간의 잘난 척은 좋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잘난 척하면서 생각이 막힌 사람을 싫어해요. 이런 사람들은 남들에게 인정 받기만 하고, 남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무슨 말하는지 관심을 가지지 않아요.

sprenown 2017-08-28 14: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건 약간의 고집과 과도한 아집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약간의 잘난척은 자존심(자존감)으로 주체적 자아의 형성에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소통할 수 있는 잘난 척(물론, 통찰력이 있는 고집과 함께)은 위대한 역사와 전통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