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도덕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버트란드 러셀 지음, 김영철 옮김 / 자작나무 / 199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샀던 모양이다. 아마도 <결혼과 도덕>이라는 원제에 충실한 책이 새로 나오다 보니 중고서점에 흘러들어왔을 것 같다. 도서관에서 새 책을 빌려 읽을 수도 있지만, 새로나온 책이 얼마나 바뀌었을까 싶기도 하고, 묵은내 나는 색바랜 책 특유의 느낌도 좋아 그냥 이걸 읽었다.(‘가정의 달이라는 5, 제목만으로 눈길을 끈다.)

 

역자후기를 보니, 원래는 20개의 장으로 되어 있는 원저의 내용을 관계있는 장끼리 묶어서의 10개의 장으로 재편성하였다고 하는데, 목차를 훑어 봐도 제1장 성교육은 어디까지 해야 하나제2장 여성해방과 가족, 3장 결혼과 이혼, 4장 가부장제냐 모계사회냐, 5장 기독교윤리와 로맨틱한 사랑 등 흥미진진한 주제들로 가득차 있다.(어쩔수 없이 시대적 한계는 있다.)

 

저자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영국의 철학자 버트란드 러셀(1872~1970. 참 오래도 살았다!). 솔직히 개인적인 독서경험상 그다지 좋은 평가를 할 수 없는 사람이다. 허영심에 들떠 그가 쓴 <서양 철학사>를 큰 맘 먹고 사서 읽다가 좌절한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100여쪽을 읽었을까나? 이해되진 않지만 참고 억지로 읽다가 도저히 고대그리스 철학자편도 마저 읽지 못했던 기억...머리 좋고, 잘난 놈이 이 세상 모든 철학()에 대해 지 맘대로 해석하고, 평가하는 듯 한 느낌...집에다 그냥 꽂아놓을까 싶기도 했지만, 그것도 쓸데없는 허영심이라는 생각에 그날 바로 알라딘 중고서점에 팔아버렸다.

 

목차에서 보듯 성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러셀이 한창 원숙한 나이인 50대 후반에 출간되었다고 하는데, 당시 청교도적 윤리관이 지배적인 영국에서 엄청난 비난을 받았던가 보다. 마광수 교수 <즐거운 사라>의 에세이 버전? 러셀은 계약결혼(우애 결혼)을 주장하는가 하면, 결혼 후에도 부부는 배우자 이외의 이성과 연애할 자유가 있다고 하는 등 특유의 풍자를 곁들여 여성의 참된 해방’, ‘페미니즘등을 거론하며 기존의 성윤리와 결혼제도, 기독교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이후 그의 두 번째 아내가 외간남자의 아이를 낳음으로써 그녀로부터 이혼 당했다고 하는 아니러니... 아니러니? 본인의 주장과 사상을 그대로 실천한, 반전운동 등 실천적 지식인의 삶을 온 몸으로 산거다. 그냥 쿨 한 것이 아닌가? 지금도 겉으로는 페미니즘을 들먹이다가 숨어서는 나쁜 짓 하고, 점잔빼는 남성들이 얼마나 많은가?)

 

[평균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우둔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것은 대체로 여성이 어린 시절 성지식의 추구를 더 효과적으로 억압당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25)에서부터 시작해서, [남자든 여자든 문명인은 그 본능에 있어서 일부다처제(혹은 일처다부제)를 선호한다고 나는 생각한다.](75)[흑인이 평균적으로 백인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보아 옳은 것 같다](181)라는 주장이나

 

포르노는 규제하는 것 보다 개방하는 것이 좋다’,‘여자에게만 순결과 정조를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간통은 이혼의 사유가 될 수 없다.’‘가부장제 이후 더 활력이 넘치고 경쟁적인 사회가 되었다.’ ‘가장 음탕한 사회에서 금욕주의가 싹튼다.’‘도덕이 엄격할수록 매음이 성행한다.’‘정신적 결험이 있는 자는 단종되어야한다’,‘성교는 사랑을 목적으로 한 실험이다.’ 등의 소제목을 보더라도 상당히 과격하고, 논쟁적인 내용이다.(출판사에서 임의로 자극적인 제목으로 뽑아낸 듯 하다.)

 

흥미로운 사실은 러셀이 아이를 낳고 키우는 여성에게 보수를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는 점이다. [기혼여성이 경제적 독립을 얻는 데는 두가지 다른 방법이 있다. 하나는 결혼 전에 종사하고 있었던 직업에 계속해서 고용되는 것으로서, 탁아소나 보육원을 크게 확장할 것을 요구하며,~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어린 자녀를 데리고 있는 여성들이 아이들을 돌보는데 전념하는 대가로 국가로부터 보수를 지급 받는 것이다.](228쪽 발췌)

 

아무튼 기존의 잘못된 성교육과 성윤리, 도덕관념, 인습과 제도를 뒤엎고, 인간의 허위의식을 까발리는 솔직한 주장이지만 러셀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도덕관념과 인습 등에서 벗어나더라도 성충동에 의한 본능대로 막 살자는 얘기가 아니다. 자발적인 도덕률과 기본적인 자제력을 갖은 상태에서 남녀가 서로의 전인격을 포용하고, 서로를 풍부하게 하고 고양케 하는 융합을 가져올 수 있는 깊고도 진지한 사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결혼의 본질은 남녀간의 엄숙한 사랑이 모든 인간 경험가운데 가장 풍성한 결실을 맺게하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이며 영적인, 깊은 친밀감과 결부된 상호간의 인격에 대한 존경이다.](257) 이거, 너무 도덕 군자와 같은 뻔한 소리아닌가?

 

그래도 [사랑을 두려워하는 것은 인생을 두려워하는 것이며, 인생을 두려워하는 자는 이미 거의 죽은 것과 같다.](198)라는 말은 그런대로 꽤 괜찮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5-08 13: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19세기 말~20세기 초 여권신장주의자들이 강조하는 것이 도덕이었어요. 도덕의 가치를 내세워 남녀 문제를 ‘교화‘로 해결하자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러한 생각은 나이브해요. 1세대 페미니스트는 결혼과 가족의 가치를 포기하지 못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