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 국내 최고의 전문가가 집필한 특목고 및 명문 이공계 대학 논구술 대비 필독서 ㅣ 과학이슈 11 16
김필수 외 지음 / 동아엠앤비 / 2025년 1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김필수 외 9명 동아엠앤비 2025-02
1 우주항공청 출범_원호섭
- 드디어 ‘문’을 연 한국판 NASA, 우주 ‘문’도 열 수 있을까?
2024년 5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항공 전담 기구인 우주항공청이 출범했다. 미국의 NASA와 같은 독립적 우주기구로 우주경제 강국으로 가는 디딤돌이 될 것인가.
290명의 직원들이 연간 7,000억을 써서 세계 시장 점유율 10%로 목표한다고 합니다.
2 SNS로 인한 도파민 중독_김태희
- 소셜미디어로 인해 도파민 중독이 일어난다고?
도파민은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쾌락과 보상을 담당합니다. 민감화와 내성으로 종독으로 이르게 합니다. 그래서 SNS를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이것들(미디어플랫폼)이 무한스크롤, 자동재생, 포모자극(FOMO, Fear of Missing Out, 놓칠까 봐 두려운 심리),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으로 구독자의 정신을 혼미하게 만듭니다.
도파민 과부하로 인한 무감각 현상도 있습니다. 초반에는 작은 자극에도 쾌감을 느끼지만, 반복될수록 강한 자극이 필요해집니다. 현실 세계에서 느끼는 보상이 SNS보다 낮아지면서 무기력해집니다. 아 이세계로 가고싶은 상상이 도파민에서 나오는거네요.
3 [건강] 비만치료제 위고비 신드롬_오혜진
- 위고비, 비만 치료의 새 지평을 열까?
빅토자, 삭센다에 이어 위고비가 나왔습니다. 먹으면 음식을 덜 먹습니다.
GLP-1은 위에시 음식물 소화 시간을 늘러 소장에서 포도당이 흡수되는 속도를 늦추고 식후 월당이 높아지는 것음 막는다. 또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해 식사 후 포만감을 높여 식욕을 역제한다. 두 가지 효과를 확인한...
53p, 비만치료제 대세로 떠오른
임상시험에서 16개월간 15% 체중 감소가 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부작용으로 메스꺼움, 구토, 변비, 설사, 위장 장애 등이 있고 비싼 가격이 문제입니다.
4 자동차 급발진의 진실_김필수
-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대책은?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원인을 찾기 위해 1080년부터 20년 이상 연구해왔슴니다. 심지어 NASA조차 실험을 했지만 실패입니다. 자동차의 전자제어, 알고리즘의 이상이라고 의심하지만 운전자의 과실도 있다고 합니다.
5 뇌 칩 이식기술_김상현
- 뇌에 칩을 심어 인간을 강화할 수 있을까?
뉴럴링크를 비롯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칩을 통해 소통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이 기술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뇌 질환 치료 : 마비 환자의 신경 기능 회복
기억력, 인지력 강화 : 학습 능력 향상
컴퓨터 조작 : 손을 쓰지 않고 기기 제어
발전과 함께 문제점이 항상 있습니다. 동물실험으로 1500마리를 숨지게 한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하고 보안 문제, 기술 한계도 있습니다. 인간이 잘 살기 위해서 동물로 실험을 한다는 것이 큰 문제겠습니다.
거기에 챗GPT, 공룡연구, 올림픽 속 과학, 네안데르탈인의 생활, 구름 위의 메가 번개, 24년 노벨 과학상의 이야기가 들어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시기에 이렇게 최신 이슈들을 정리해주는 책이 필요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이슈가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무심결에 SNS를 열어봅니다. 하루에도 십여번을 열어봅니다. 책에서 설명하는 ‘도파민 중독’이 맞습니다. ‘좋아요’, 댓글, 새로운 피드 업데이트는 즉각적인 보상을 주며, 뇌는 이를 계속 원하게 됩니다. 현실의 자신과 가상의 분신 간의 괴리감이 커지면서 현실에서의 만족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반성하게 됩니다.
전체적으로 과학을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이 마음에 듭니다. 무조건 긍정적으로,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기술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설명하며, 독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해마다 한권씩 나오는 것같습니다. 벌써 16권째입니다. 그럼 16년일까요. 저력있는 ‘과학이슈‘ 시리즈입니다.



